K스타트업, 美 진출 브릿지... LEK 파트너스 '주목'
올해 뉴욕증시와 미국경제는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의 고강도 긴축 정책으로 롤러코스터를 탔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 그리고 미국과 중국의 기술 패권전쟁과 같은 국제 정세 변화도 불확실성을 가져오는 원인이 됐다. 이제 시장은 2023년 미국의 경기침체에 주목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이 47개 투자은행(IB)을 대상으로 조사한 1년 이내 경기침체 발생확률은 올 3월 20%에서 12월 현재 60%로 높아졌다. 이런 가운데 IB 은행별로 내년 연착륙과 경착륙에 대한 의견도 엇갈리고 있다. 실제 미국에서 활동하는 경제 전문가들은 시장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또 이런 시장 상황에서 미국에 진출하는 기업들은 어떤 전략을 취해야 할까. 미국 캘리포니아 LA와 샌디에이고, 뉴욕, 애틀랜타, 텍사스 오스틴, 테네시주 내쉬빌 등 한국 기업들이 다수 진출한 미 주요 거점에 오피스를 두고 회계, 세무,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는 LEK파트너스의 정종우 파트너는 "시장 변동성이 크고 강대국을 중심으로 힘이 재편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한국 기업들은 미국에서 기회를 찾아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정 파트너는 "최근 미국의 실물경제를 보면 고용시장은 여전히 견조한 모습을 유지하고 있으나, 인플레이션이 다소 진정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고 주택, 건설시장을 중심으로 경기둔화 조짐이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며 "많은 경제학자들이 2023년 미국 실물경제의 완만한 경기침체는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라고 설명했다.그는 "이러한 추세 속에 미국은 자국을 중심으로 공급망으로 재편하고 미국 경제의 일부를 중국으로부터 분리하려는 노력을 진행 중"이라며 "미국 내 반도체 생산 활성화와 인공지능(AI) 등 신기술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칩스법 이나 재생에너지와 친환경 발전, 전기차와 배터리 산업에 속한 기업들이 미국에서 공장을 짓고 미국산 원재료를 사용하도록 지원하는 IRA법안 시행 등으로 표출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미국에 진출을 앞두고 있거나, 이미 진출한 한국 기업들은 다가올 경기침체에 대비하면서도 생산 시설이나 원재료 공급을 미국을 중심으로 진행하는 등의 전략적 방향전환을 모색해야 하는 어려운 처지에 있다. 문석구 파트너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신중하게 투자규모의 적절성을 재검토하고 가능한 연방 및 지방정부 차원의 세제혜택, 투자지원금, 저리 대출과 같은 각종 지원혜택을 받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면서 생산성 향상을 통해 효율성을 구축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무엇보다 금융시장의 리스크관리 강화로 인한 자금조달 어려움을 극복할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면서 "경제상황과 각종 법률안 재개정 등을 지속해서 모니터링하면서 발 빠르게 대응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