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서 EV 배터리 '재활용' 시장이 뜬다... 공급망 붕괴 및 IRA 영향
미국의 전동화 추진에 따른 전기차(EV) 생태계가 빠르게 조성되고 있는 가운데, IRA 시행으로 인한 공급망 제약에 따른 해결책을 배터리 재활용 부문에서 찾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중국발 원료 공급에 대한 제약이 큰 상황에서 EV 배터리 재활용을 통해 부족한 원료를 일부 수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지난 25일(현지시간) EV 생태계가 빠르게 조성되고 있는 미국 조지아주에서는 전동화 생태계와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그리고 배터리 재활용에 대한 패널토의가 이뤄졌다. 이날 패널토의에는 애틀랜타에 본사를 둔 회계법인 에이프리오(Aprio)의 최지윤 ESG 담당 변호사를 비롯해 스티븐 장 SK배터리 대외협력담당 이사, 배터리 재활용 기업인 애센드 엘리먼츠(Ascend Elements)의 데이비드 몽크 재활용 어카운트 매니저, 유럽 최대 구리 제련소인 어루비스(Aurubis)의 데이비드 슐시스 전략담당 이사, 제임스 워쉬번 지멘스 전력 상품 담당 이사, 그리고 알루미늄 제조사 노벨리스의 지속가능성 리드인 토드 애스톤 등이 참석했다.참석자들은 전례 없는 미국 정부의 지원 속에서 조지아주를 비롯한 미국 곳곳에 재생에너지 기업과 제조업체들이 몰려들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진정한 지속가능성을 달성하려면 무역 긴장이 고조되는 환경 속에서 새로운 시장 진입자가 자국에서의 성공을 빠르게 미국 시장으로 이식할 수 있도록 정책적인 지원과 생태계 속 기업들 간 협업이 활발하게 이뤄져야 한다"라고 입을 모았다. 장 이사는 "IRA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다"며 "배터리 개발과 생산에 대한 투자가 수십 년 동안 이뤄졌지만 IRA 시행과 함께 테네시, 켄터키 등 미국 곳곳에 배터리 공장이 들어서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EV생태계 조성에 있어서 재활용 분야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장 이사는 "배터리 셀에 들어가는 많은 원료가 중국산이다. 이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라며 "당장은 미국 공급망을 현지화하기를 원하지만 현재로서는 상당히 어렵고 실현이 불가능하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재활용 분야가 이를 보완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전기차에 들어가는 셀은 약 60~ 70% 정도가 재활용된다. 여기에는 많은 양의 전력이 남아있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어떻게 재활용하고, 이런 물질의 대부분을 사용가능한 전력으로 되돌릴 수 있는지가 중요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