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구독자 여러분,8월 비가 세차게 내렸습니다. 여러분은 모두 괜찮으신가요? 저는 최근 한국에서 열린 블록체인 컨퍼런스 ‘비들아시아2022’와 블록체인 개발자 행사 ‘이드서울’, ‘코리아블록체인위크(KBW)2022’에 다녀왔습니다. 코로나19로 모든 오프라인 행사가 중단된 후 2년만이었는데요, 오랜만에 간 행사장에는 ‘매진’이라는 말에 걸맞게 많은 사람들과 이더리움, 솔라나, 폴리곤 등 글로벌 대형 프로젝트들이 참석해 대성황을 이뤘습니다. 하지만 현장에서 세션에 참가하고 사람들을 만나니 깊은 고민을 하게 됐습니다. 과연 2년 전에 비해 산업은 성숙했을까? 암호화폐는 여전히 쓰기 불편합니다. 프라이빗키, 시드문구 등…용어도 너무 어렵습니다.많은 프로젝트들이 "인터넷 혁명이다. 기존의 불편한 점을 이렇게 해결하겠다"고 외치지만 받아들이는 입장에서는 이 서비스를 왜 써야 하는지, 왜 존재해야 하는지 이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아무리 세상을 바꾸는 프로젝트라고 외쳐도 그래서 "가격이 얼만데?"란 말로 관심이 수렴됩니다. 특히 암호화폐 산업 자체 문제도 해결하지 못한 듯 보입니다. '민주화'를 외치지만 실제로는 폐쇄적 의사결정(거버넌스) 구조를 해소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실제 테라스테이블코인(UST)이 미국 달러화와 가치 연동이 깨졌을 때, 중요한 의사결정은 커뮤니티가 아닌 권도형 창업자와 대형 밸리데이터(위임자)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이뤄졌습니다. 솔라나 블록체인 기반 월렛이 해킹당하는 과정에서는 지갑 업체 슬로프가 중앙 서버에 사용자들의 프라이빗키를 보관했던 행태가 드러났습니다. 개발자, 사업개발담당, 창업자 등 여러 부류의 인사에게 확인한 결과 이는 ‘백업을 위한 관행’이었지만 ‘그러면 안되는’ 일이었습니다. 블록체인 산업이 '스케일' 하기 위해선 대중화는 필수입니다. 블록체인∙암호화폐(혹은 웹3) 업계는 ‘회사를 탈중앙화해 사용자들에게 이익을 준다’고 말하지만, 뜯어보면 아직 기존 산업의 구조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탈중앙화로 가는 게 맞냐’는 논의를 제쳐 두고서라도, 지금 탈중앙화 서비스로 사용자에게 비용을 받겠다고 하면 그것도 탈중앙화 해야 하는 것이죠. 그렇지 않다면 각종 사기로 돈을 벌려는 사업자들과 크게 다르지 않아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