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금요일(27일) 뉴욕 증시에는 모처럼 훈풍이 불었습니다.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찍었다는 기대감에 다우존스, S&P 500, 나스닥 등 3대 지수가 일제히 상승했는데요, 각각 1.76%, 2.47%, 3.33% 급등하며 희망의 불씨를 지폈습니다.25일부터 사흘 연속 상승한 S&P 500지수는 5월에 기록했던 손실을 모두 지워버리고, 2020년 11월 이후 가장 큰 폭의 주간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올해 기준으로 보면 약 8주 만에 3대 지수 흐름이 하락세에서 상승으로 돌아선 것인데요, 이런 변화를 보면 ‘주식 시장이 저점을 찍었나’ 하는 생각이 들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다우 지수의 경우 1932년 이후 90년 만의 최장기(8주) 연속 하락이라는 암울한 기록을 남기던 상황이었습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너무나 반가운 반등이었던 것이죠.표면적인 상승 원인으로 지목되는 건 ‘물가’였습니다. 미국 상무부가 이날 발표한 4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전년 동기 대비 4.9% 상승했는데, 이 수치가 전월(5.2%) 대비 둔화한 것입니다. 지난 2월(5.3%) 이후 PCE가 연속으로 떨어지자 ‘물가가 잡힌 것 아닌가’하는 인식이 퍼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음식과 에너지(excluding food and energy)를 제외한 근원 PCE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이하 연준)가 선호하는 물가 지표로 알려져 있습니다. 지난 2월 40년여 만의 최고 수준으로 치솟으며 연준의 금리 인상을 부추겼던 이 지표의 상승세가 잦아들자 금리 인상 우려가 줄어든 셈입니다. 금리 인상은 올해 미국 증시를 짓누른 가장 큰 부담이었습니다.향후 시장 흐름은 어떻게 전개될까요? 지금을 증시 바닥으로 보고 대응해도 괜찮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