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s
The global race for semiconductor supremacy has the potential to reshape the balance of power in the 21st century, with the United States and China locked in a high-stakes battle that could redefine the future of technology, innovation, and geopolitical influence.The Third Semiconductor War is unfolding. Following 15-year cycles focused first on PCs and then smartphones, artificial intelligence has now taken the baton. In an exclusive video interview, Chris Miller, a professor at Tufts University, emphasized that true competitiveness lies in technological superiority, not just localized production.Miller argues that while nations worldwide subsidize domestic semiconductor manufacturing, this approach has its limits. "The success or failure of any semiconductors, including South Korean chip companies, is primarily decided not by whatever subsidies they receive, but rather by clever technology," Miller stated. He mentioned that in the memory chip space, Samsung has traditionally been the biggest player, but over the last year, SK Hynix has outperformed it by producing the most advanced type of DRAM, known as high-bandwidth memory (HBM) chips, crucial for AI processing. "Governments must realize that their role is at best as a helper.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ir efforts won't be determined by the amount of spending but by the efficacy of the companies' R&D efforts."A notable point is that China is one of the few countries that has successfully localized its supply chain. China has now localized much of its supply chain, posing a direct challenge as the world's two superpowers jockey for semiconductor supremacy in the emerging AI era. At the same time, the traditional hierarchy is being disrupted, with South Korean upstart SK Hynix surpassing long-dominant Samsung in advanced high-bandwidth memory chips coveted for AI applications.
Sejin Kim 2024.06.02 18:55 PDT
안녕하세요 뷰스레터 구독자 여러분, 스핀오프 레터, [비저너리(Visionary)]의 김세진입니다.지금 3차 반도체 전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PC 15년, 스마트폰 15년에 이어 인공지능(AI) 기술이 바통을 이어받았습니다. 2022년 11월 오픈AI의 생성AI 챗봇 챗GPT가 출시된 후 AI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글로벌 경쟁이 시작됐죠. 이때 AI를 훈련하는 데 필수재인 반도체 칩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했습니다. [주요 기사]글로벌 미디어, 비즈니스 모델 대전환... 퀄리티가 돈이다새로운 시장이 열린다. 퀄컴은 웃고 인텔은 울었다중국 64조원(3차투자기금), 미국 70조원(칩스법), 일본 35조원(반도체 지원 예산), 한국 26조원(반도체지원프로그램).AI 반도체를 둘러싼 국가와 기업 간의 전쟁이 치열합니다. 미국, 중국, 유럽연합(EU) 등은 저마다 수십조원 단위 지원책으로 자국으로 생산라인을 끌어들이려 하죠. 미국 빅테크들도 반도체를 사거나, 혹은 자체 AI칩 개발에 수십조단위를 투자하고 있습니다.
Sejin Kim 2024.05.31 21:39 PDT
모바일 산업 최대 박람회 및 콘퍼런스인 2023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24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MWC를 주최하는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SMA)는 올해 주제를 ‘퓨처 퍼스트(Future First)’로 정하고 미래의 모습을 이번 MWC2024 행사에서 먼저 볼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한다. 이번 MWC행사에는 특히 AI 기술이 전면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AI를 탑재한 스마트폰, PC 등 디바이스에서부터 AI기능이 접목된 소프트웨어까지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들이 관객들을 맞이할 예정이다. 이에 더해 세계 최초 양산형 플라잉카 모델이 현장에 전시되는 등 네트워크,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다양한 제품들이 소개될 예정이다. 이번 MWC행사에는 약 9만 명 이상의 관람객 방문하고, 17개의 무대에서 1100여 명의 스피커들이 참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165개의 한국기업이 이번 MWC에 참석하며, SK텔레콤(SKT)이 키노트 스피커로 무대에 오를 예정이다. SKT가 개발한 LLM서비스를 소개하며 에이닷(A.) 등 AI 서비스에 대한 설명이 있을 예정이다. 더밀크는 이번 MWC2024에서 주목해야 할 트렌드로 ▲AI ▲지속가능성 ▲오픈게이트웨이 ▲마이크로소프트를 꼽았다.
Youngwon Kim 2024.02.19 01:17 PDT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IT 전시회 ‘CES2024’가 5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이번 CES에서 글로벌 기업들이 발표할 비전, 신제품 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공식 개막 하루 전인 1월 8일(현지시각) 취재진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미디어 데이(Media Days)’ 2일 차 프레스 컨퍼런스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분위기다. 2023년 11월 30일 CES 주최 단체인 CTA가 공식 발표한 11개 업체(보쉬, 두산, 현대, 하이센스, 기아, LG전자, 파나소닉, 삼성, 소니, TCL, 발레오. 알파벳순)에 애보트, SK, 폭스바겐 3개 업체가 추가돼 총 14개 업체가 프레스 컨퍼런스를 진행하고, 이와 별개로 반도체 업체 엔비디아도 이날 온라인으로 ‘스페셜 발표(special address)‘를 진행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공식 프레스 컨퍼런스와 함께 자율주행차 레이싱 대회 ‘인디 오토노머스 챌린지’ 주관사 등 9개 기업·단체가 진행하는 ‘파워 세션’도 이날 열린다. 더밀크는 현재까지 공개된 내용을 토대로 주목할 만한 프레스 컨퍼런스 톱7을 정리했다.
박원익 2024.01.04 14:30 PDT
안녕하세요 뷰스레터 구독자 여러분, 오픈해 주셔서 감사합니다.최근 샘 알트만 오픈에이아이(OpenAI) 창업자가 한국에 방문해 큰 화제를 불러일으켰는데요, 더밀크에서는 미국에서의 인연으로 한국에서 그와 함께 행사를 열었습니다. 이번에 그가 얘기한 건 크게 2가지입니다. 샘 알트만은 암호화폐 월드코인에 손대고 있습니다.그는 AI의 발전에 따라 보편적기본소득(UBI) 논의도 확장해야 한다고 봅니다.-크립토 산업이 어지러운 이 시국에 월드코인이 잘될까요?-아직 넘어야 할 산은 많아 보입니다.저는 최근 미국 텍사스에 다녀왔습니다. 먹는 걸 상당히 좋아하는 저는 출장 지역을 들었을 때 바비큐(BBQ)와 ‘텍사스식 멕시칸푸드(Tex-Mex, 텍스멕스)’를 가장 먼저 떠올렸는데요, 텍사스는 음식과 함께 생각보다 많은 이야기가 있는 곳입니다. 우선 텍사스는 ‘텍사스 공화국’으로도 불립니다. 선거철마다 매번 미국에서 분리∙독립하자는 정치적 움직임이 나타나기 때문이죠. 돈이 많아서 입니다. 미국에서 생산하는 원유의 20% 이상이 이곳에서 납니다. 약 190년 전 멕시코에서 독립한 뒤에 유전과 금광이 대거 발견됐죠. 이 덕에 지금은 미국 50개 주 중 캘리포니아에 이어 두 번째로 경제 규모가 큽니다. 텍사스는 이 인프라에 세금까지 대폭 낮춰 기업들을 끌어들이고 있습니다. 엑손모빌과 같은 에너지 기업을 중심으로 의료, 바이오, 항공우주, 물류 등 분야 수많은 기업이 있죠. 여기에 더해 최근 테슬라, 오라클 등 실리콘밸리에 있는 IT 기업들도 텍사스로 본사를 이전했습니다. 그러자 전통 에너지의 성지였던 텍사스가 이제는 친환경 에너지의 성지로 변모합니다. 한국의 대기업도 이를 놓치지 않고 있죠.
Sejin Kim 2023.06.14 05:16 PDT
👉 미국 전기차 뜨자 EV 충전 시장도 '빅뱅'전기차(EV) 충전소 시장은 최근 연 30%가량 성장하고 있다. 독보적 1위가 없는, 이른바 블루오션이다. 여기에 미국 정부의 막대한 지원금이 올해와 내년 대거 풀릴 것으로 예상되면서 전 세계 각 분야 기업이 충전소 시장에 뛰어드는 추세다.미국 시장 진출 기업 목록에는 한국 기업도 있다. SK시그넷은 그중에서도 가장 적극적인 기업 중 하나다. SK시그넷은 SK㈜가 지난 2021년 약 2900억원에 인수한 EV 충전기 제조사다. 현재 미국에서 초급속 충전기(200kW급 이상) 기준 점유율 1위다. 폭스바겐그룹 자회사 일렉트리파이아메리카(EA), 이브이고(EVgo) 등 미국 상위 전기차 충전사업자(CPO)에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기도 하다. 최근 SK시그넷은 미국 텍사스주에 생산 공장(SK Signet Manufacturing Texas, SSMT)을 준공했다. 오는 7월부터 양산을 시작, 350kw 이상 초급속 충전기 생산량을 늘리고, 미국과 유럽 시장을 집중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더밀크는 5일 11시(현지시각) 미국 텍사스주 플레이노(Plano)시에 위치한 준공식 및 공장 현장을 취재했다.
Sejin Kim 2023.06.07 15:00 PDT
전기차(EV)의 시대다. 테슬라(Tesla)가 촉발한 경쟁으로 기업들이 우후죽순 등장하면서 이제 전기차는 길거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차가 됐다. 여기에 더해 파리기후협정에 따라 탄소배출량을 줄여야 하는 각 국가 정부들이 전기차 산업에 지원금을 뿌리면서 시장은 계속 커지는 중이다. 이때 전기차가 확산되면 전기 완성차 기업만 커지는 게 아니다. 챗GPT가 쏘아올린 생성인공지능(AI) 열풍에 반도체칩 기업 엔비디아가 수혜를 입은 것처럼, 전기차 시장이 커지면 관련 부품 시장도 커진다. 대표적인 관련 산업이 충전 인프라다. 전기차를 쓰면 자연스레 느는 수요인 탓.
Sejin Kim 2023.06.06 07:43 PDT
‘CES2023’ 혁신상 수상작이 공개됐다. CES2023 혁신상 수상작은 CES 기간 동안 ‘베네치안 엑스포(Venetian Expo)’ 전시장에 마련된 이노베이션 어워드 쇼케이스(Innovation Awards Showcase)에 별도로 전시될 예정이다. 혁신 제품을 이미지로만 보는 것과 실제로 만져보고 체험하는 건 완전히 다른 차원의 경험이기 때문에 전 세계 IT업계 관계자들의 이목이 라스베이거스 현장에 쏠리고 있다. CES 혁신상은 1976년에 제정됐다. CTA(미국소비자기술협회) 전문가 그룹이 출품 제품의 기술력과 디자인, 소비자 가치 등 혁신성을 종합 평가해 수상작을 선정한다. 올해도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소형 기기부터 TV를 비롯한 가전, 드론, 자동차 및 로봇 관련 기술·솔루션, 스마트에너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이 혁신상을 받았다. 28개 분야에 걸쳐 총 2100개 이상 제품이 출품돼 역대 최대 경쟁률을 기록한 가운데, 각 범주에서 최고 등급의 점수를 받아 최고혁신상 ‘베스트 오브 이노베이션(Best of Innovation)’에 오른 17개 제품이 CES 웹페이지에 소개됐다. 혁신상 전체 목록과 모든 수상자는 CES2023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CES2023 최고 혁신상의 키워드는 크게 ‘로봇(Robotics)·스마트시티(Smart Cities)·사이버 시큐리티(Cybersecurity & Personal Privacy)·웨어러블(Wearable Technologies)’ 네 가지다. 17개 중 로봇, 스마트시티, 사이버 시큐리티, 웨어러블 부문에서 각각 2개 제품이 최고 혁신상으로 선정됐다. 특히 2022년 CES에서 이어 로봇 분야가 계속 강세를 보여주고 있다는 걸 확인할 수 있었다. 자율주행과 결합된 배달 로봇, 공장 등에서 활용할 수 있는 외골격(엑소스켈레톤) 로봇, 글로벌 전기차 기업 테슬라가 개발 중인 휴머노이드 로봇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도가 글로벌 기술·산업계에서 진행 중이다. 로봇이 인간의 가까운 미래에 인간의 생활상을 크게 바꿀 것이란 관측에 힘이 실리고 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 중국의 코로나19 팬데믹 봉쇄 등의 영향으로 스마트시티 솔루션에 관한 관심도 더욱 높아졌다. 빈번한 해킹 사고, 데이터 기반 개인 보안의 중요성이 커지며 사이버 시큐리티 분야 제품 역시 주목을 받았다. 반도체 기술 발전 및 발열 제어 기술 발달로 몸에 걸치는 웨어러블 제품의 활용성, 성능도 꾸준히 개선되는 추세다. 삼성전자, LG전자, LG디스플레이, SK그룹, 현대중공업그룹, 아모레퍼시픽 등 대기업부터 스타트업에 이르기까지 국내 기업이 총 140여 개에 달하는 혁신상을 수상했다는 점도 눈여겨볼 특징이다. 더밀크는 CES2022 주요 최고혁신상 수상작을 총 다섯 가지 분야로 나눠 분석했다.
박원익 2022.12.12 15:19 PD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