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s
도널드 트럼프 전 제47대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정권인수팀이 전기차 세액공제 폐지에 나섰다. 14일(현지시각) 로이터에 따르면 트럼프 당선인의 정권인수팀(transition team)은 바이든 행정부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근거한 전기차 세액공제 폐지를 계획 중이다. 로이터에 따르면 석유 에너지 회사 콘티넨털 리소스 설립자인 해럴드 햄과 더그 버검 노스다코타 주지사가 이끄는 에너지 정책팀이 이런 방안을 논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원익 2024.11.14 10:07 PDT
트럼프 재선은 전 세계 정치, 경제 사회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을까? 미국과 한국을 연결하는 크로스보더 미디어 더밀크(The Miilk)는 8일, 미국 대선 이후 경제와 산업, 자산 시장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는 웨비나를 개최했다. 웨비나에서는 트럼프의 재선이 확정된 이후 경제, 산업, 자산 시장 등에 미칠 영향을 다루며, 한국 기업과 투자자들이 대비해야 할 사항에 대해 심도 있게 다뤘다. 이번 웨비나는 손재권 더밀크 대표와 송인근 WSQ미디어 대표가 대담자로 참여해 트럼프 재선의 정치적, 경제적 의미를 분석하고, 한국 기업들이 선제적으로 준비해야 할 대책을 제시했다. 사회는 권순우 더밀크 서던플래닛장이 맡았다.
김기림 2024.11.09 13:39 PDT
미국 공화당 대통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11월 5일 치러진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를 확정지으면서 트럼프 집권 2기가 현실화됐다. 트럼프 당선인은 현재 조 바이든 정부가 만든 정책 기조를 모두 전환할 가능성이 크다. 이런 가운데 미국 공화당이 4년 만에 상원 다수당 자리를 탈환하면서 대통령과 상, 하원을 모두 공화당이 차지할 전망이다. 차기 트럼프 정부의 국정 주도권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는 의미다. 가장 극적인 변화는 이민정책에서 두드러질 전망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대선 캠페인 내내 가장 중요한 공약으로 불법 이민자 추방 문제를 내걸었다. 그는 남부 국경을 통해 불법 이민자 유입이 급격하게 늘었고, 살인 전과가 있는 범죄자가 1만 4000명 가까이 미국에 유입, 각종 범죄를 저지르고 있다는 주장을 되풀이해왔다. 결론적으로 이런 그의 주장은 사실 여부를 떠나 미국 유권자들의 상당한 신뢰를 얻은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불법 이민자 문제 해법으로 '추방'을 내걸었다. 취임 첫날부터 가장 먼저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추방 작전을 펼치겠다고 공언한 만큼, 현실화할 가능성이 크다. 로이터 통신도 6일(현지시간) 트럼프 후보가 당선을 확정 지은 뒤 "트럼프가 대규모 추방 계획을 시행하기 위해 미국 정부의 각 부처를 동원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매체는 트럼프 행정부에 참여할 가능성이 있는 인사들의 말을 인용 "군대부터, 해외 외교관에 이르기까지 모든 수단을 동원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또 러닝메이트였던 JD 밴스는 연간 100만 명을 추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추산했다. 실제 트럼프는 지난 2017~2021년 재임 기간 동안 추방 규모를 확대하려고 애쓴 바 있다.
권순우 2024.11.06 08:35 PDT
세계 경제 중심지 미국의 차기 대통령에 공화당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됐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집권으로 인해 ‘자유무역의 종말’이라는 이야기가 현실로 성큼 다가왔다. 미국은 그간 동맹국을 중심으로 제조업 사슬을 만들고 혜택을 부여해왔다. 한국은 이 가치사슬의 중요한 행위자 중 하나였다. 그러나 보호무역주의, '아메리카 퍼스트(미국 우선주의)'를 주장하는 트럼프 후보의 재집권으로 인해 한미 무역관계가 재편될 가능성이 커졌다. 현 바이든 행정부가 실시한 경제 정책의 대대적인 변화로 인해 국내 경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한국 경제에서 두 가지 주목해야 할 사항은 현재 조 바이든 행정부 하에서 시행되고 있는 1) 관세 정책과 2) 미국에 공장을 건설하면 보조금을 주는 반도체칩과학법(CHIPS and Science Act of 2022, 이하 칩스법),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등 정책의 향방이다. 👉 [웨비나 안내] 미 대선 후폭풍 긴급 진단… 내 월급∙주식 어떻게 되나?
Sejin Kim 2024.11.06 03:22 PDT
미국 최초의 여성 대통령이 탄생하는 것일까? 대선을 약 50여일 남겨둔 9월 13일(현지시간) 현재 상황으로만 보면 민주당 대선 후보로 나선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승기를 잡은 것으로 보인다. 기폭제는 지난 10일 ABC 방송 주최로 진행된 TV 토론회였다. 조 바이든 대통령이 후보에서 자진 사퇴한 이후,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해리스 부통령이 사실상 처음으로 격돌하는 자리였다. 미국 대통령 선거는 다양한 변수가 나올 수 있지만, TV 토론 결과에 따라 미 대선 판도가 바뀔 수 있어 토론회 전부터 전 산업군과 투자 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웠다. 토론회에서 해리스는 트럼프를 도발하는데 성공했다. 해리스가 트럼프의 후보 자질에 대해 언급하거나, ABC방송이 실시간 팩트체킹을 통해 바이든 행정부 시절의 범죄율 급증이나 낙태권에 대한 트럼프의 주장에 대해 반박하자 언성을 높이는 모습을 보였다. 보수 성향의 폭스뉴스의 브릿 흄도 분석가 마저도 "거의 해리스가 승리했다"고 평가했다. 또 CNN은 해리스 캠프 자문위원들의 말을 인용해 "해리스가 이슈에 대한 강력한 통제력을 보였으며 경제, 외교, 낙태 등 핵심 이슈에 대해 잘 전달했다. 특히 트럼프의 심기를 건드리는데 성공했다"고 분석했다. 여론조사 결과가 이를 반영한다. 로이터 통신이 지난 11일부터 이틀간 입소스와 공동으로 전국의 등록 유권자 14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최신 여론조사(오차범위 ±약 3%p)결과에 따르면 해리스 부통령이 트럼프 전 대통령에 5% 포인트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리스 부통령은 47%의 지지율을 기록했고,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은 42% 였다. 오차범위 이내지만 리드폭이 지난달말 같은 기관의 조사 때보다 소폭 커진 것이다. 또 로이터-입소스 최신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번 TV토론에서 해리스 부통령이 이겼다고 답한 응답자는 53%를 기록했다. 반면 트럼프 전 대통령 승리라고 답한 응답자는 24%에 머물렀다. 2배 이상의 응답자가 해리스에 손을 들어줬다. 이에 트럼프 전 대통령은 TV토론회 이후 애리조나주 투손에서 진행한 유세에서 "해리스를 상대로 기념비적인 승리를 거뒀다"고 자평했다. 그러면서도 "3번째 토론은 없을 것"이라고 했다.
권순우 2024.09.13 16:59 PDT
미국시간으로 어제(21일) 시카고에서 열린 민주당 전당대회에는 '끝판왕'이 등장했습니다. 시카고를 텃밭으로 미국 최초의 흑인 대통령에 당선됐던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이 연단에 섰습니다.그의 등장에 민주당 지지자들은 환호했는데요. 그간 오바마는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대선 후보로 지명된 이후에도 좀처럼 의견을 드러내지 않고 두문분출 했습니다. 오랫만에 '연설가' 오바마의 진면목을 볼 수 있었는데요. 연단에 서서 그는 "그녀는 할 수 있다"고 외쳤습니다. 이 구호는 16년 전 오바마 전 대통령이 선거 구호로 사용했던 "우리는 할 수 있다(Yes, We Can.)"에서 따온 겁니다. 미국 최초의 여성 대통령을 세워보자며 호소했습니다. 오바마 전 대통령의 아내 미셸도 연단에 올라 '희망', '아메리칸 드림', '통합'과 같은 미국의 기본적인 가치를 이어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전당대회 3일차 21일(현지시간)에도 민주당은 분위기를 한껏 끌어올렸습니다. 일리노이주 시카고 유나이티드 센터에서 열린 전당대회에는 빌 클린턴 전 대통령까지 가세해 해리스를 지지하면서 총공세에 나섰습니다. 클린턴 전 대통령은 트럼프 전 대통령을 향해 "무대에 오를 때마다 나(me)를 강조하며 노래를 시작하는 테너와 같다"면서 "해리스가 대통령이 되면 당신(you)로 시작할 것"이라며 비판과 찬사를 동시에 보냈습니다. 전날 해리스가 후보 지명을 수락한데 이어, 팀 월즈 미네소타 주지사도 부통령 후보 지명을 수락하면서 민주당이 대선 후보를 공식화했습니다. 해리스 진영은 확실히 분위기를 탄 모습입니다. 해리스 부통령이 3~5%차로 트럼프 전 대통령을 앞선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속속 나오고 있고, 지난 2020년 대선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패했던 노스캐롤라이나가 공화당 우세 지역에서 '경합' 지역으로 재분류됐습니다. 이른바 해리스 효과(Harris Effect)가 나타나고 있는 건데요. 대선 후보가 80대 바이든에서 50대 여성으로 교체됨에 따라 '투표'에 참여하려는 젊은 유권자, 비백인, 여성 유권자들이 늘어나고 있고, '트럼프-바이든' 사이에서 갈등하던 부동표를 흡수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하지만 분위기를 탄다고 승리하는 것은 아니겠지요. 트럼프가 총상을 입고 주먹을 치켜든 모습을 보면서 트럼프 2기가 확실하다는 평가가 나온 것이 불과 한 달 전의 일이었습니다. 여전히 선거인단 투표 예상 득표 수에서는 트럼프 후보가 앞서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투표가 끝나고 개표할 때까지 절대 예단하지 말아야 합니다. 2024년 미 대선의 중요한 시사점은 미국 사회가 큰 변화를 겪고 있고, 이런 변화가 선거를 통해 나타나고 있다는 점입니다. 미국은 예전보다 더 다양해졌지만, 정부와 정치가 이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정치적 양극화는 더욱 심화되고 있습니다. 또한, 이번 대선에서 미국인들은 경제 문제를 어느 때보다 심각하게 바라보고 있습니다.이에 따라, 한국도 미국 정치와 경제 변화에 큰 영향을 받는 만큼, 실시간으로 변하는 미국의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이에 대한 대응 정책(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권순우 2024.08.22 14:37 PDT
미국 민주당 텃밭인 캘리포니아, 실리콘밸리 표심의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오는 11월 대선을 앞두고 지난 27일(현지시간) 치러진 첫 TV 토론회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 참패했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이런 분위기가 더욱 고조되고 있다. TV 토론의 후폭풍은 미국 정가를 흔들고 있다. 민주당 진영에서는 후보를 교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고, 후보 교체 시나리오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도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진영에서는 "사실상 선거는 끝났다"고 승리 선언을 하고 있다. 디인포메이션은 "실리콘밸리에서 트럼프에 대한 지지가 본격화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TV를 통해서 드러난 바이든 대통령의 모습이 고령의 나이는 물론, 대통령으로서의 역장에 대한 우려를 강화시켰다는 것이다. 링크드인 공동 창업자로 대표적인 바이든 지지자로 알려진 리드 호프만의 고문 드미트리 멜혼은 "조 바이든이 끔찍한 밤을 보냈다"면서 "트럼프의 재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언급했다. 이를 두고 디인포메이션은 "실리콘밸리에서 변화의 조짐을 반영한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중도 성향의 부유층은 트럼프의 낮은 세금과 규제 완화 정책을 통한 경제 회복을 기대하며 그에게 표를 던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그간 트럼프 전 대통령은 실리콘밸리와 교류를 강화하기 위한 움직임을 보여왔다. 그는 이달 초 영향력 있는 투자자인 데이비드 색스의 자택에서 모금 행사를 개최한 바 있다. 또 팔란티어의 고문 제이콥 헬버그 등 일부 인사를 영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데이비드 색스 TV 토론 이후 소셜 미디어 X통해 생방송 중 대통령의 실수를 비판했다. 그는 "바이든이 토론을 감당할 수 없다면 쿠바 미사일 위기 이후 가장 위험한 외교 정책 상황을 어떻게 처리할 수 있겠는가? 이제 벼랑 끝에서 물러날 때"라고 썼다. 또 최근 뉴욕타임스는 "마크 앤드레센과 같은 실리콘밸리의 저명한 투자자 중 일부가 바이든에게 등을 돌리고 있다"고 전했다. 다만 실리콘밸리의 민주당 지지는 여전히 견고하다. 당장 등을 돌리고 있다는 일부 반응에 대해서는 과장된 측면이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디인포메이션에 따르면 벤처캐피털리스트들이 민주당에 기부한 펀드는 공화당의 네 배 이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매체는 "실리콘밸리의 트럼프 지지 자금이 대폭 증가할 것 같지는 않다"며 "다수의 중도 성향 인사들은 공개적으로 트럼프를 지지하기보다는 조용히 지지할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권순우 2024.06.30 01:49 PDT
미국이 중국 중심의 공급망 재편을 위해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발표한 지 2년 여가 됐습니다. 실제 2022년 8월 이 법이 통과된 이후 미국의 제조업 환경은 급변하고 있는데요. 세금 공제를 추구하면서 기업들이 청정 제조 프로젝트에 수십 억 달러를 투자하고 있고, 그 결과 전기자동차, 배터리, 태양전지 등을 생산하기 위해 수십 개의 공장이 미 전역에 들어섰습니다. 구체적인 통계가 이를 반영합니다. 법 시행 첫해 39개 주에서 860억 달러의 투자가 이뤄졌는데요. 오토모티브 다이브 조사에 따르면 2022년 8월 이후 올 4월까지 미국 내 305개 신재생 에너지 프로젝트가 시작됐는데요. 자본투자는 1231억달러에 달했고, 10만 5454개의 일자리가 창출됐습니다. 특히 전체 프로젝트의 49.5%가 우리나라를 비롯한 해외 기업 투자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투자 분야는 전기차(EV)와 배터리에 집중됐습니다. 특히 EV 프로젝트는 134개로 조사됐고, 투자규모는 776억달러로 나타났습니다. EV 분야 일자리는 5만 7400개가 늘었습니다. 프로젝트 단위로는 '에너지 효율' 분야가 133건으로 뒤를 이었고, 투자 규모로는 배터리와 스토리지 분야가 49개 프로젝트에서 216억달러의 투자가 이뤄졌습니다. 태양광 분야 투자가 68개 프로젝트에서 138억달러의 투자가 이뤄졌는데요. 2만 51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면서 EV 부문 일자리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일자리를 만들어 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국 기업 프로젝트 36개로 1위... 조지아 등 남부에 72개 집중 지역별로는 미국 남부 지역으로 투자가 집중됐습니다. EV의 경우 미 남부지역에 72개 프로젝트가 집중됐고, 44개가 중서부 지역에 들어섰습니다. 태양광 분야와 배터리 및 스토리지 분야 프로젝트도 각각 30개 24개로 조지아주, 노스캐롤라이나와 같은 남부 지역에 집중됐습니다. IRA이후 미국에 가장 많은 투자를 한 나라는 우리나라였습니다. 미국이 중국과의 '디커플링'을 추진하는데 있어 우리 기업들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잘 알 수 있는 대목인데요. 2022년 8월 이후 미국에 투자한 우리 기업들의 프로젝트 숫자는 36개로 조사됐습니다. 이어 일본이 21개, 캐나다 18개, 독일 14개, 중국이 11개로 조사됐습니다. 중국은 대부분 조인트벤처 형태로 미국에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프로젝트는 2022년 10월부터 2023년 4월까지 투자 발표가 잇따랐는데요. 작년 4월에는 25개 이상의 프로젝트가 발표되기도 했습니다. 투자가 위축됐다고는 하지만 올 4월에도 기업들의 미국 투자 발표가 이어졌는데요. 도요타가 14억달러를 투자해 인디애나주에 전기차 공장 건설계획을 발표했습니다. 보비에트 솔라(Boviet Solar), OMCO 솔라 등 태양광 관련 기업들이 노스캐롤라이나와 앨라배마에 각각 투자계획을 발표했고, 수소 기업인 톱소(Topsoe)도 버지니아주에 4억달러의 생산시설 투자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권순우 2024.05.17 11:33 PDT
미국은 오는 11월 대통령 선거를 치릅니다. 한국과 우리 기업 입장에서는 이 대선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울 수밖에 없는데요. 기업들이 미국에 잇따라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 상황에서 정책 기조가 달라지면, 기업들의 전략도 달라질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당선 시나리오에 대한 여러 이야기들이 나오고 있는데요. 미국과 중국의 기술 패권전쟁을 시작한 그가, 당선되면 중국과의 경쟁 대신 협업할 수 있다는 전망들이 나오고 있어서 주목을 끕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최근 발언이 이를 반영하는데요. 디인포메이션에 따르면 트럼프의 최근 연설과 텔레비전 토론에서"대통령으로서 중국의 전기차 제조업체가 미국에서 자동차를 생산할 수 있도록 장려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전제 조건이 있었는데요. '미국의 노동력'을 사용해야 한다는 조건이었습니다. 즉 중국 기업의 미국 진출은 허용하되, 인력 대부분을 미국 인력으로 채용하겠다는 겁니다. 그의 발언은 중국을 향한 그간의 발언과는 상당히 대조적입니다. 중국의 EV, 배터리 제조업체들이 멕시코에 공장을 건설하고, 미국에 상품을 수출해 관세를 회피할 계획이라는 보도가 단초가 됐는데요. 트럼프는 "중국 기업이 멕시코에 공장을 건설하고, 미국에 제품을 들여올 경우 관세를 두 배로 올리겠다"라고 경고했는데요. 미국 블루칼라 근로자들의 표심을 자극하면서도 중국까지 끌어안겠다는 영리한(?) 전략으로 보입니다. 👉 트럼프 당선되면 E-4 비자 어떻게 될까? 그간 트럼프와 다른 주요 공화당 의원들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폐지를 요구해왔습니다. 특히 에너지부의 대출 프로그램 예산을 계속해서 줄이려는 노력을 해왔는데요. 이 때문에 산업계는 트럼프 대통령 시대가 다시 올 경우를 대비한 다양한 시나리오를 내놓고 있습니다. 우선 트럼프 행정부 안에서도 IRA 프로그램이 변함없이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과, 광산 및 원자력 프로젝트가 탄력을 받을 것이라는 예측도 나옵니다. 다른 하나가 바로 중국 기업들에게 문호를 개방하는 겁니다. 이유는 공급망 등 여러 부문에서 어려움을 겪었던 업계의 불만 때문인데요. 결과적으로 중국과 협력해야만 미국의 전기차와 배터리 산업이 더 발전할 수 있다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캘리포니아 소재 배터리 개발업체 미트라 켐의 비바스 쿠마르 CEO는 디인포메이션과의 인터뷰에서 "미국산, 미국 제조, 미국 직업, 세금 수입이 미국 지역사회로 돌아가는 것이 우선인 트럼프의 생각은 옳은 방식"이라며 "세계 최고의 기술을 미국으로 가져오고 그 기술의 혜택, 가치 창출이 미국인에게 돌아가는 것이 미국을 위한 길"이라고 말했습니다.늘 자국의 이익을 우선하는 미국이 전동화와 중국과의 기술 패권경쟁에 있어 '대결' 보다는 '협력'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는 건데요. 이런 패러다임 시프트가 K배터리 기업에게는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까요. 바이든 정부의 중국 배제 정책은 상대적으로 K배터리 기업에게는 호재였습니다. 트럼프 정부 2기가 들어설 경우 우리 기업에는 적잖은 타격이 예상되는 이유입니다. 비자 측면에서도 한국인 전용 취업비자 E-4는 5수 고배를 경험했는데요. 트럼프 2기가 들어서면 전용비자 통과는 더 어려워질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인들을 채용하라"는 강력한 기조가 반영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권순우 2024.04.17 20:31 PDT
세계한인무역협회(이하 월드옥타) 이영중 이사장은 지난 23일(현지 시간)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열린 한미경제포럼 위원회 출범식에서 한국인 전용 전문직 취업비자(E-4) 신설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 이사장은 이날 오전 미국 조지아주 사바나 인근에 건설되고 있는 현대자동차의 전기차 공장을 둘러봤다면서 "3000 에이커의 부지에 역대 최대 규모의 공장이 세워지는 것을 보고 감격했다. 미국 동남부의 엄청난 변화와 발전을 우리 기업들이 주도하고 있다는 것을 느끼고 왔다"라고 말했다. 그는 "한미 경제 동맹에도 가장 시급한 사안인 취업비자(H-1B)와 E-4(한국인 전용 전문직 취업비자) 비자 문제가 여전히 해결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 유학생의 경우 전체 유학생의 5%만이 H-1B 추첨에 선발되고 있는데, 중국, 인도, 필리핀과 같은 다른 나라와 비교해 월등히 낮은 수치"라며 정부, 기업, 커뮤니티가 힘을 모아 비자 문제 해결에 힘을 쏟아야 미국에 진출한 우리 기업들이 성공적으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 것이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권순우 2024.03.28 05:41 PDT
Venturing into a new market can unlock significant business opportunities. However, achieving success in the global market is not an easy task. From sourcing the needed human resources and setting up the operation in the local territory, to providing the necessary after-sales services in the relevant market, businesses must align with local laws and culture, adopting management practices that cater to the needs of both employees and customers.Even those companies with deep pockets often struggle to fit itself into the global markets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business environment, ever changing needs of the client or their customers and different laws in different states, especially in the US. For example, South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hastily entered the US market following the Inflation Reduction Act(IRA) implementation last year. Despite having established and operated manufacturing lines, they have encountered a number of challenges, such as timely sourcing the needed talents and spike in turnover rates, which have caused major issues in meeting their productivity goals and put the fundamental business at risk.“Diverse and extensive problems arise from global operations,” said John Cho, VP of Business Enablement for CEF, a New Jersey-headquartered BPO services provider."If not addressed immediately and precisely with a comprehensive management approach, these issues can escalate into larger problems such as unexpected increase of costs and deterioration of quality,” he added.CEF says it offers the most practical results with its tailored BPO services, custom-fit to each client. This involves an end-to-end outsourcing program, which includes a consulting phase to identify the needs and ensure business stability. Additionally, a customizable program management model enables clients to achieve their ROIs and business goals, he added.Founded in 2016, CEF provides comprehensive BPO services on behalf of business clients across multiple industries described above. While Its clientele primarily started from the globally renowned consumer electronics and IT companies with a presence in the US, the company has recently seen an increase in partnership requests from various industries, including automotives, parts manufacturing, financial services and logistics. With a remarkable average year-over-year growth of 37% over the past four years (2020–2023), the company anticipates continued upward momentum. The global BPO industry is projected to reach $440 billion in revenue by 2028 with an expected annual average growth rate of 4.68%, according to data provider Statista.
Youngwon Kim 2024.03.07 13:54 PDT
미국의 조 바이든 행정부가 11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전기차(EV) 전환 속도 조절에 나섰다. 자동차 업계와 노동조합 요구에 따라 전기차 도입 속도를 늦추는 방안을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뉴욕타임스(NYT), 악시오스 등 주요 언론은 소식통을 인용해 바이든 행정부가 EV 전환을 지연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환경보호청(EPA)이 자동차 배출가스 기준 완화를 위해 내놓은 전기차 판매 비중을 낮추고, 오는 2030년부터 이 기준을 서서히 강화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는 것이다. EPA는 2030년까지 판매되는 모든 신차의 60%를 전기차로 대체하고, 2032년까지 67%로 비중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다만 목표가 완화되더라도 오는 2032년까지 판매량의 약 3분의 2를 EV로 채우려는 전반적인 목표는 그대로 유지될 것이라고 뉴욕타임스는 덧붙였다. 이에 대해 바이든 대통령의 노력에도 미국이 대규모 EV를 채택할 준비가 되어있지 않다는 점을 인정하는 것이라고 악시오스는 분석했다. 실제 미국은 충전 인프라 부족과 경기둔화 등의 요인이 맞물리면서 EV 판매 증가율이 둔화하고 있다. 완성차 업계에서는 EPA의 목표가 너무 급진적이라는 불만이 고조되어 왔다.
권순우 2024.02.22 06:38 PD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