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s
순다 피차이 구글 CEO는 11일(현지시각) 차세대 AI 모델 ‘제미나이 2.0(Gemini 2.0)’을 출시하며 이같이 밝혔다. 올해 2월 ‘제미나이 1.5’를 출시한 후 10개월 여 만에 최신 모델을 선보인 것이다. 구글은 이번 제미나이 2.0 발표에서 매개변수(parameter) 규모에 따른 네 가지 제품군(나노, 플래시, 프로, 울트라) 중 개발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플래시를 먼저 선보였다. 빠른 응답 시간과 멀티모달(Multimodal, 다중모드) 기능, 프로 모델에 가까운 향상된 성능이 플래시 모델의 특징이다.
박원익 2024.12.15 20:15 PDT
앤디 재시 아마존 CEO는 3일(현지시각) 라스베이거스에서 진행된 클라우드 컨퍼런스 ‘AWS 리인벤트(re:Invent)’ 2024 기조연설에서 “75% 저렴하게 최고 성능을 누릴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구글 제미나이, 오픈AI GPT-4 등 업계 주요 AI 모델과 비슷한 성능을 내면서도 비용은 더 저렴하다는 것이다. 자체적으로 계속 프론티어(frontier, 최첨단) 모델 개발 작업을 진행해 왔고, 특히 지난 4~5개월 동안 큰 진전을 이뤘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박원익 2024.12.03 14:11 PDT
톰 브라운 앤트로픽(Anthropic) 공동창업자 겸 최고연산책임자(Chief Compute Officer)는 2일(현지시각) “프로젝트 레이니어 기반으로 개발 속도를 높일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브라운 공동창업자는 이날 밤 라스베이거스에서 진행된 아마존웹서비스(AWS) 연례 클라우드 컨퍼런스 ‘리인벤트(re:Invent)’ 첫날 기조연설에 깜짝 등장, 아마존과의 강력한 협업 관계를 과시했다. 그가 기조연설에 등장한다는 내용은 외부에 공개되지 않았었다. 아마존은 앞서 11월 22일 생성 AI 스타트업 앤트로픽에 40억달러(약 5조6000억원) 규모의 추가 투자를 단행, 앤트로픽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강화한 바 있다.
박원익 2024.12.03 06:06 PDT
안녕하세요, 앞서가는 더밀크 구독자 여러분을 위한 AI 뉴스레터 [박원익의 AI인사이트]입니다. 매주 수요일 발행하는 ‘AI인사이트’를 통해 AI 리더들의 전략, 글로벌 테크업계 최신 흐름 및 중요 시그널을 놓치지 말고 확인하세요! “과학자들의 AI 사용 증가는 과학의 한계가 급격히 도약하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코너 그리핀 구글 딥마인드 AI 정책 연구원은 26일(현지시각) 발표한 학술 에세이를 통해 “새로운 발견의 ‘황금기(golden age)’가 시작됐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과거에도 계산기, 현미경, 엑스레이 같은 도구에 의존하며 과학이 발전해 왔지만, 생성 AI 기술은 훨씬 깊은 잠재력을 내포하고 있다는 주장입니다. AI가 강력한 도구가 되는 시대, 과학계가 주목하는 새로운 기회는 무엇일까요?
박원익 2024.11.27 11:45 PDT
반도체 설계 전문업체 AMD가 데이터 센터용 AI 시스템 설계 업체 ZT시스템(ZT Systems)을 인수한다. 총 49억달러(약 6조5400억원) 가치의 현금 및 주식을 활용, 2025년 상반기에 거래를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ZT시스템의 주 고객은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등 대규모 클라우드 서비스를 운영하는 하이퍼스케일러다. ZT시스템의 데이터 센터용 AI 시스템, 인프라(Rack, 랙) 설계 능력을 확보한 AMD가 데이터 센터용 AI 가속기(Accelerator) 시장 1위인 엔비디아를 추격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AMD는 19일(현지시각) 회사 홈페이지를 통해 “2027년 4000억달러(약 534조원) 규모에 달할 데이터 센터 AI 가속기 시장 기회에 대응하기 위해 업계 최고 시스템 전문성을 가진 ZT시스템을 전략적으로 인수한다”고 밝혔다. 현금 75%, 주식 25% 조건으로 인수 계약을 체결했다.
박원익 2024.08.19 12:44 PDT
안녕하세요, 앞서가는 더밀크 구독자 여러분을 위한 AI 뉴스레터 [박원익의 AI인사이트]입니다.“연말까지 안식년을 갖습니다. 9년 전 오픈AI를 공동창업한 이후 처음으로 취하는 휴식입니다.” 그렉 브록만 오픈AI 공동창업자 겸 사장(president)은 5일(현지시각) X(옛 트위터)에 올린 글을 통해 이렇게 밝혔습니다. 회사 경영에서 물러나 잠시 휴직에 들어간다는 것이죠. 월가를 중심으로 ‘생성 AI 거품론’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나온 갑작스러운 발표였습니다. 업계 리더인 오픈AI마저 흔들리는 것일까요? 오늘 레터에서는 대두된 생성 AI 거품론과 그 속에서 주요 AI 기업들이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봤습니다. 매주 수요일 발행하는 ‘AI인사이트’를 통해 AI 리더들의 전략, 글로벌 테크업계 최신 흐름 및 중요 시그널을 놓치지 말고 확인하세요!
박원익 2024.08.07 15:21 PDT
월가를 중심으로 ‘AI 버블론’에 힘이 실리는 가운데, AI 반도체 기술 스타트업 그로크가 대규모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상장사에 투자하는 헤지펀드업계와 가능성을 보고 비상장 기업에 선제적 투자를 하는 VC업계의 시각 차가 두드러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AI 칩 개발사 그로크(Groq)는 5일(현지시각) 6억4000만달러(약 8768억원) 규모의 시리즈D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는 유망 스타트업 등 비상장 기업에 주로 투자하는 블랙록 프라이빗 에쿼티 파트너스가 주도했다. 뉴버거 버먼(Neuberger Berman), 타입 원 벤처스 등 벤처캐피털(VC)과 삼성 카탈리스트 펀드, 시스코 인베스트먼트, 글로벌 브레인의 KDDI 오픈 이노베이션 펀드 III 등 기업형 벤처캐피털(CVC)도 전략적 투자로 참여했다. 이번 투자 유치에서 그로크의 기업가치는 28억달러(약 3조8000억원)로 평가됐다. 2021년(10억달러, 약 1조3700억원) 대비 3배 가까이 불어난 수치다. 그로크 관계자는 “빠른 속도를 원하는 개발자들 사이에서 ‘그로크 AI 추론(inference) 플랫폼’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고 했다.
박원익 2024.08.05 12:27 PDT
인텔이 1일(현지시각) 부진한 2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미국 정부의 강력한 반도체 산업 지원 정책이 인텔을 지원하고 있지만, 유의미한 성과를 내기까지는 시간이 더 걸릴 것이란 관측이다. 부진한 실적에 실망한 투자자들이 매도에 나서며 인텔의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 18% 이상 폭락 중이다. 정규 거래 시간에도 주가가 5.5% 하락했다.인텔은 이날 2분기 조정 주당순이익(EPS, non-GAAP)이 0.02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투자정보업체 LSEG가 집계한 월가 애널리스트 예상치 0.10달러에 못 미쳤다. 분기 매출 역시 128억3000만달러를 기록, 예상치 129억4000만달러를 밑돌았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도 분기 매출이 1% 줄었고, 순이익은 미국회계기준(GAAP) 기준으로 전년 14억7000만달러에서 16억1100만달러 순손실로 적자전환했다.
박원익 2024.08.01 14:21 PDT
안녕하세요, 앞서가는 더밀크 구독자 여러분을 위한 AI 뉴스레터 [박원익의 AI인사이트]입니다. 요즘 미국 증시 시가총액 경쟁을 보면 프로야구 구단 순위표를 보는 것 같은 착각에 빠집니다. 한동안 유지됐던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기업’ 타이틀이 최근 연일 뒤바뀌고 있기 때문입니다. 18일(현지시각) 엔비디아는 마이크로소프트, 애플을 제치고 반도체 기업 최초로 시가총액 1위에 등극했습니다. 앞서 지난 13일에는 애플이 5개월 만에 종가 기준 시가총액 1위에 올랐습니다. 이런 시총 순위 싸움의 핵심에 AI와 반도체가 있습니다. 오늘은 역사를 새로 쓴 엔비디아 이야기,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삼성 파운드리 포럼 2024 소식, 구글에 도전하는 생성 AI 검색 스타트업 퍼플렉시티 최고사업책임자(CBO)와의 단독 인터뷰 소식 등을 준비했습니다. 매주 수요일 발행하는 더밀크의 AI 전문 뉴스레터 ‘AI인사이트’를 통해 중요한 신호, 의미를 놓치지 말고 확인하세요!
박원익 2024.06.19 12:29 PDT
삼성전자가 12일(현지시각)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개최한 ‘삼성 파운드리 포럼(Samsung Foundry Forum)’에서 AI 제품 관련 매출 청사진 및 로드맵(roadmap, 계획)을 제시했다. 송태중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 상무(VP, 사업개발팀장)는 이날 삼성 파운드리 포럼 2024 미디어 브리핑에 참석, “2028년 AI 칩 관련 매출이 지난해 대비 9배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올해 AI 칩 관련 매출은 작년 대비 1.8배로 늘어나고, 고객 수 역시 올해 2배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다. AI 칩 관련 메모리,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고대역 메모리 적층을 위한 ‘첨단 패키지(Advanced Package)’ 솔루션을 모두 보유한 회사는 삼성전자가 유일하며 이런 점 때문에 고객 요청이 계속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엔비디아에 HBM을 납품을 언제 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즉답을 피했다. 김인동 메모리 사업부 상무는 “현재 협력 중이나 고객과 무엇을 하고 있는지 언급하기는 어렵다”고 했다. 현재 삼성잔자는 HBM 5세대 제품 ‘HBM3E’의 품질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한편 ‘반(反)엔비디아 연합’으로 불리는 울트라 가속기 링크(Ultra Accelerator Link·UA링크) 그룹에 삼성전자가 참여할 수 있다는 언급도 나왔다. UA링크는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메타 등 빅테크와 인텔, AMD, 브로드컴 등 반도체 기업, 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HPE), 시스코 등이 참여해 추진 중인 새로운 데이터 전송 링크다. AI 모델 훈련과 추론 등 강력한 연산력이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려면 칩과 칩을 연결, 대량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필요가 있다. 현재 GPU(그래픽처리장치)를 앞세워 AI 가속기 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엔비디아가 자체 데이터 전송 솔루션 ‘NV링크(NVLink)’를 개발, 다양한 자사 제품군에 적용하고 있는 이유다.송 상무는 “(칩 간의) 상호연결은 매우 중요하다”며 “UA링크(UALink) 그룹의 표준화 시도가 매우 흥미롭다고 생각한다. (삼성전자도) 지원 방법을 논의하고 있다”고 했다. AI 업계에서는 엔비디아를 제외한 다른 기업들이 뭉쳐 UA링크 표준 구축에 나선 것은 시장을 사실상 독점하고 있는 엔비디아의 독주를 견제하기 위한 움직임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파운드리 및 메모리 부문 강자 삼성이 향후 UA링크 진영에 합류한다면 새로운 표준에 더 힘이 실릴 수 있을 전망이다.
박원익 2024.06.12 15:16 PDT
안녕하세요, 앞서가는 더밀크 구독자 여러분을 위한 AI 뉴스레터 [박원익의 AI인사이트]입니다. “애플 인텔리전스(Apple Intelligence)는 오직 애플만 제공할 수 있는 AI다.” 10일(현지시각) 쿠퍼티노 애플 본사에서 진행된 WWDC 2024 기조연설에 등장한 팀 쿡 애플 CEO의 발언을 시장이 이해하는 데는 꼬박 하루가 걸렸습니다. 발표 당일 2%가량 하락했던 주가가 다음 날인 11일 완전히 방향을 바꿔 7.26% 급등,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죠. 12일에는 마이크로소프트를 제치고 시가총액 1위 자리까지 탈환했습니다. 시총 3조달러(약 4140조원) 규모 기업의 주가가 이 정도로 상승하는 일은 흔치 않습니다. 왜 이런 반응이 나왔을까요? 오늘은 애플의 연례 개발자 컨퍼런스 ‘WWDC 2024’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에 대한 더밀크의 관점을 중심으로 레터를 준비했습니다. 화상회의 본질에 집중한 줌(Zoom) 최고제품책임자(CPO)와의 단독 인터뷰, 숏폼 영상 분야 핵심 경쟁력을 가진 중국 콰이쇼우의 새로운 동영상 생성 모델 ‘Kling’ 이야기도 담았습니다. 매주 수요일 발행하는 더밀크의 AI 전문 뉴스레터 ‘AI인사이트’를 통해 중요한 신호, 의미를 놓치지 말고 확인하세요!
박원익 2024.06.12 08:25 PD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