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s
시어스랩은 증강현실 개발 소프트웨어 플랫폼 개발 업체다. 삼성전자와 SK텔레콤 출신의 정진욱, 김재철 등 한국인 창업가들이 미국 스타트업 본산인 실리콘밸리에서 창업했다. 이 회사는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개발자를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를 제공한다. 개발자는 시어스랩의 SDK를 활용해 증강현실 스티커에서 아바타까지 다양한 AR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는 것이 특징. 시어스랩은 현재 증강현실 개발 소프트웨어 플랫폼 마켓에서 아마존, 구글에 이어 세계 3위의 시장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Youngjin Yoon 2021.12.13 07:46 PDT
기후 변화에 대한 대응으로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요즘,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에너지 발전에도 계속된 혁신이 이루어지고 있다. 기술 개발을 통한 효율 증대와 비용 저감을 통한 상용화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빛을 전기로 변환하는 실리콘 태양전지의 효율은 25%로 낮은 상태로서 발전 효율을 높이기 위한 과제는 여전히 풀어야할 숙제이다.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게 위해 미국 메사추세츠 주의 스타트업 큐빅피브이(CuvicPV)는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라는 할로겐 화합물과 실리콘 물질을 결합, 햇빛을 전기로 바꾸는 변환 효율을 최대 87%까지 높이는 탠덤(Tandem) 모듈을 개발하였고, 이로 인해 최근 빌 게이츠(Bill Gates)의 에너지 펀드인 브레이크스루 에너지 벤처스(Breakthrough Energy Ventures)로부터 투자를 받게 되었다.
김주현 2021.11.15 13:34 PDT
NFT(Non-Fungible Token)는 블록체인에 존재하는 새로운 유형의 디지털 자산이다. 스포츠 시장에서 NFT는 2012년부터 생성되기 시작해 2017년부터 인기를 끌기 시작했다.현재 디지털 트레이딩 카드, 플레이어의 이미지, 그래픽, 아바타, 브랜드 콘텐츠, 3D 아트, 영상 등 다양한 스포츠 NFT 콘텐츠들이 제작되고 있다. 이들은 스포츠 팬과 선수, 팀, 클럽, 연맹, 리그를 연결시켜 스포츠 팬들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는 효과를 준다. 소유를 넘어 투자 기회까지 제공하면서 스포츠 팬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NFT 스포츠 수요는 디지털 자산 성장세와 함께 더욱 커지고 있다. 관련 스타트업도 줄줄이 생겨나고 있는데 그중 2021년 6월에 창업한 캔디 디지털(Candy Digital)은 NFT 스포츠 스타트업이다. 최근 1억달러 규모의 시리즈 A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김주현 2021.11.09 03:41 PDT
최근 구글이 아프리카 지역 인프라 구축을 위해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6일(현지시각) AFP 통신에 따르면 구글은 아프리카 대륙 내 인터넷 인프라 구축, 중소기업 저금리 대출, 스타트업 지원 등 아프리카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을 위해 향후 5년간 10억 5000만 달러(1조 2300억원)를 투자할 예정이다. 10억 달러는 인터넷 인프라 구축에, 5000만 달러는 스타트업 지원에 쓰일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나이지리아, 가나, 케냐,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의 중소기업에 1000만 달러 규모의 저금리 대출을 지원하는 한편, 신흥 시장에 소액 대출을 제공하는 기업들과 협력해 이들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구글과 같은 빅테크의 행보는 신흥시장에서 소액 대출을 통해 소득이 낮은 사람들의 경제적 자립을 돕는 비영리단체인 키바(Kiva), 그라민뱅크(Grameen Bank) 등 대출 비즈니스 모델이 주목받는 계기가 되고 있다. 여기 금융 사각지대에 놓인 국가에서 새로운 신용 검증 방식을 도입해 소액 대출을 제공하는 스타트업이 있다.
김주현 2021.10.26 00:03 PDT
최근 디지털 혁신 속도가 빠르다. CPU 성능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기능에 이르기까지 기술 인프라는 지난 30년 동안 많은 발전을 이뤘다. 게리 호버맨(Gary Hoberman) 언코크 CEO는 "소프트웨어와 응용 프로그램을 만드는 전통적인 방법(코딩)은 너무 오래된 커뮤니케이션 방법이다. 여전히 상형문자 같다”고 말했다. 호버맨은 기술 회사가 아닌 조직에서는 이러한 '상형 문자'를 읽고 쓸 수 있는 전문가가 부족하며 이들이 바로 언코크의 타겟이라고 보았다. 그의 예상은 적중했다. 언코크(Unqork)는 창업 3년만에 20억 달러 기업가치를 지닌 유니콘으로 부상했다. 노코드(No Code) 스타트업 언코크는 기업이 ‘드래그 앤 드랍(Drag and Drop)’ 인터페이스를 사용해 코딩 없이도 완전한 앱을 개발하게 한다.언코크는 10월 12일 ‘언코크 마켓플레이스(Unqork Marketplace)’를 시작했다. 언코크 마켓플레이스는 기업 고객을 위한 최초의 노코드 장터다. 기업은 마켓플레이스에서 각종 개발 템플릿과 제품을 찾아 몇번의 클릭으로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게 개발할 수 있다. 언코크는 기존 개발 방법보다 3배 빠르고 저렴하게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버그가 600%까지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연선 2021.10.19 01:41 PDT
미국 영화배우 안젤리나 졸리는 지난 2013년, 예방적 유방 절제 수술을 받으며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유전체 검사를 통해 유방암 발병 확률이 87%, 난소암 발병 확률이 50%라는 진단을 받은 후, 신체 일부를 사전에 제거한 것이다. 이로써 안젤리나 졸리는 해당 암 발병 확률이 5%로 줄었다고 한다.하지만 발병 예방의 목적으로 신체의 일부를 제거하기 보다 보이지 않는 유전자 염기서열을 제거할 수 있다면 어떨까? 정확하게 발병 DNA만 제거할 수 있다면 마다할 이유가 없지 않을까? 이러한 상상이 가능한 것은 모두 3세대 꿈의 기술,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덕분이다.유전자 가위는 생명공학 부분의 최고의 혁신아이템으로 평가되는데, 팬데믹 기간 동안 그 중요성이 다시 한번 부각됐다. 바이러스를 탐지하는 것에서부터 백신을 만드는 것까지, 인류는 건강을 지키기 위해 이 최신 생명공학 기술에 의존하고 있다. 생명공학 회사인 매머드 바이오사이언스(Mammoth Bioscience)는 2018년, ‘CRISPR/Cas9’을 개발한 2020년 노벨화학상 수상자, 제니퍼 다우드나(Jennifer Doudna) UC버클리 교수가 트레버 마틴(Trevor Martin) 등과 함께 공동창업했다. 현재 질병을 치료하고 감지할 수 있는 치료 및 진단 분야에서 차세대 크리스퍼 제품을 개발중이다. 이 기업은 유전자 가위기술로 농작물 개량이나 치료분야가 아닌 ‘진단영역’에 진출한 첫 기업이기도 하다. 유전자가위 기술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뜨거워지면서 매머도 바이오사이언스는 현재 10억 달러 이상의 가치를 지닌 유니콘 기업으로 급성장했다.
한연선 2021.10.12 13:05 PDT
혈액이나 소변을 검사할 필요 없이 만성 질환을 진단하고 모니터링하는 기술은 엄청난 잠재력을 가진 시장이다. 그런 의미에서 스타트업 그래프웨어(GraphWear)는 최근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업체는 채혈 없이 혈당 수치를 지속해서 모니터링하는 혁신적인 센서와 장비를 개발하고, 미 식품의약청(FDA) 승인을 추진 중이다. 그래프웨어는 이를 기반으로 지난 5일(현지시각) 2050만 달러(244억 원) 규모의 시리즈 B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Youngjin Yoon 2021.10.11 06:52 PD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