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lections
한국 투자자가 가장 좋아하는 미국 기업 1순위는 바로 테슬라입니다. 고점에서 62%나 하락하면서 역대 최대폭의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지금도 테슬라에 대한 한국인들의 사랑은 막지 못하고 있습니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최근 한 달 동안 한국인들이 가장 많이 매수 결제한 미국 주식 1위는 여전히 테슬라입니다. 개별주식으로 2위인 애플과는 매수 결제규모가 거의 4배가 넘게 차이가 날 정도입니다. 무엇이 이렇게 테슬라에 열광적이게 하는걸까요?
크리스 정 2022.12.18 20:16 PDT
한 해가 마무리 되고 있습니다. 2022년은 역사적으로 아주 중요한 한 해가 기록될 것입니다. 전쟁이나 에너지 위기같은 부분을 제외해도 시장이 펀더멘탈적으로 아주 큰 전환을 한 지점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40년만에 기록적인 수준으로 오른 인플레이션은 반대 급부로 금리를 그만큼 충격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리게 했습니다. 연준과 각 국 중앙은행을 그만큼 공격적으로 금리를 올렸고 금융환경은 또 그만큼 악화됐습니다. 2022년이 쇼크의 발단을 맡았다면 2023년은 그 충격이 표출되는 시기가 될 것이란 전망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크리스 정 2022.12.12 16:15 PDT
연말이 되면서 투자은행들도 내년 전망에 대한 리포트를 속속 내놓고 있습니다. 글로벌 투자은행이자 월가의 큰형님같은 IB 골드만삭스의 2023년 전망을 알아보겠습니다.먼저 매크로 환경은 어떻게 변할까요? 올해 시장을 이끈 최대 요인을 보면 결국 매크로 환경이었죠. 아무리 기업들의 수익이 좋았어도 금리와 인플레이션같은 매크로 환경은 주가를 끌어내린 원동력이 됐습니다. 그만큼 내년도 매크로 환경이 주식시장의 방향성을 좌우하는기본 펀더멘탈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크리스 정 2022.12.11 16:38 PDT
다우지수가 폭풍 질주를 하고 있습니다. 올해 내내 금융시장을 압박했던 높은 금리와 강달러, 그리고 매크로 환경을 생각하면 가치주가 전면 포진한 다우지수의 상승세는 어느정도 이해가 되는데요. WSJ에 따르면 올해 다우지수와 나스닥 그리고 S&P500의 격차가 무려 89년만에 가장 큰 격차를 보이며 3대 지수를 압도했다고 합니다. 거의 100년만에 나타난 다우지수의 부활입니다.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하는 것은 이런 기조가 최소한 내년까지도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입니다. 기술 성장주가 시장을 압도하기 위해서 가장 좋은 환경은 저물가에 저금리가 유지되는 골디락스 환경인데요. 내년은 이런 환경이 나타나기가 상당히 어렵죠.
크리스 정 2022.12.05 21:30 PDT
제롬 파월 연준의장이 금리인상 기조를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발언하면서 연준의 정책이 긴축에서 드디어 완화로 전환하는 것이 아니냐는 기대가 커지고 있습니다. 물론 이걸 곧이 곧대로 받아들이기는 힘들죠.시장의 기대는 너무 앞서갔죠. 사실 연준이 보여준건 7대를 때리던걸 이번달에는 5대만 때려줄께라는건데 시장은 당장 내년 연준이 금리인하라는 사탕도 줄꺼야라고 기대하고 있죠. 하지만 이런 모습이 드물지는 않습니다. 주식시장은 언제나 상황을 앞서가기 때문입니다.
크리스 정 2022.12.04 17:43 PDT
살다보면 길이 안보일 때가 있습니다. 어떻게 해야할지도도 잘 모르겠고 살면서 느끼는건 참 내 맘대로 되는게 정말 하나도 없다는거죠. 투자도 그렇습니다. 꼭 내가 사면 내리고 안되겠다 싶어 팔면 오릅니다. 그래서 가끔은 이미 성공한 사람들을 벤치마크하는것도 좋을때가 있습니다. 대가들은 지금같은 혼란스러운 장에서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까? 그래서 오늘은 대가들이 지난 분기 어떤 투자를 했는지를 살펴보는 13F 보고서를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크리스 정 2022.11.20 15:57 PDT
1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정책 전환 메시지를 기다리던 투자자들은 크게 한 방 먹은 느낌입니다. 분명 연준은 정책전환에 대한 신호를 분명하게 줬습니다. 하지만 출구전략의 문을 보여준 제롬 파월 의장은 그 문을 열어주지는 않았습니다.수요일 FOMC 회의가 끝나고 시장은 환호했습니다. 연준이 성명을 통해 “이후 금리를 결정할 때는 누적된 긴축 통화정책이 경제에 미치는 시간차를 감안하겠다.”면서 상황을 두고보겠다는 정책전환 시그널을 던졌기 때문이죠. 하지만 그 환호는 불과 30분을 가지 못했습니다. 제롬 파월 의장이 엄청나게 매파적인 메시지를 기자회견 내내 쏟아냈기 때문이죠.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이 내리고 있다는 증거를 보지 못했다면서 심각한 경기침체를 감당하더라도 물가는 꼭 잡고 말겠다는 의지를 천명했습니다. 이제 월가의 포커스는 "연준의 최종금리가 어디까지 향하고 채권금리는 어떻게 반응할 것인가?" 입니다.
크리스 정 2022.11.07 15:18 PDT
올랐다 하면 내리고 또 내리는가 싶으면 다시 오르는 속을 알 수 없는 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기술적인 지표들은 시장의 과매도세가 역사적인 수준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데요.연준의 금리인상 기조가 계속될 수 있음을 보여주면서 주가가 바닥을 뚫고 지하로 향할 수도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지난주 9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정말 충격적으로 나왔죠. 특히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물가지수가 40년 만에 최고가를 경신하면서 인플레이션이 느리더라도 정점에서 내려오고 있다는 한 줄기 희망이 있었는데 그 희망마저 앗아가 버리는 수준이었죠.
크리스 정 2022.10.18 17:23 PD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