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ference
글로벌 리더들의 인사이트를 전달합니다. 쉽게 들을 수 없는 글로벌 주요 컨퍼런스를 더밀크가 직접 취재해 정리합니다.
글로벌 리더들의 인사이트를 전달합니다. 쉽게 들을 수 없는 글로벌 주요 컨퍼런스를 더밀크가 직접 취재해 정리합니다.
지난 2022년 2월 16일. 암호화폐 업계에 상징적인 사건 하나가 발생했다. 탈중앙화 거래소(DEX, 이하 덱스) ‘dYdX’의 암호화폐 거래량(Trading Volume, 단위: USD)이 세계 최대 거래소 ‘바이낸스’를 넘어선 것이다. 덱스란 중개인 없이 개인 간 거래(P2P) 방식으로 운영되는 암호화폐 거래소를 말한다.후발주자인 dYdX가 쟁쟁한 중앙화(Centralized) 거래소들을 제치자 업계 일각에서는 “예견했던 일”이라는 반응이 나왔다. 빠른 성장이 놀랍긴 하지만, ‘디파이(DeFi, 탈중앙화금융)’의 장점을 고려할 때 이런 흐름은 정해진 수순이었다는 분석이었다. 실제로 2021년 말 기준 글로벌 덱스 거래량은 전년 대비 550% 급증했다.전통적인 암호화폐 거래소와 달리 덱스는 투자자들의 자산을 직접 맡지 않는다. 개인 지갑을 활용해 중개만 하기 때문에 거래소 해킹 위험이 적다. 오픈소스 기반일 경우 거래 처리 방식도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놀라운 건 급부상한 dYdX의 주요 투자자 중 하나가 한국 기반 크립토 전문 투자업체 ‘해시드(hashed)’란 사실이다. 덱스의 잠재력에 주목해온 해시드는 2021년 1월 dYdX의 시리즈 B 투자에 참여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를 기반으로 활동해온 dYdX 창업팀과 꾸준히 교류하며 투자 기회를 얻은 것이다. 해시드가 디파이, NFT(대체불가토큰), DAO(탈중앙화자율조직), P2E(Play to Earn) 같은 ‘웹3(web3, 블록체인 기반 웹)’ 프로젝트에 주목하는 이유는 뭘까? 미국 덴버에서 개최된 웹3 행사 ‘ETH덴버(ETHDenver) 2022’에서 만난 김백겸 해시드 파트너는 “웹3가 과거와 비교할 수 없는 수준의 접근성,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웹3의 특성 때문에 ‘엑시인피니티(Axie Infinity)’ 같은 게임이 베트남을 너머 전 세계에서 빠르게 사용자를 모을 수 있었다는 것이다. 그는 “과거에는 새로운 IP(지식재산권)를 세계 시장에 알리려면 막대한 마케팅 비용을 쓰거나 유명 IP를 빌릴 수밖에 없었다”며 “엑시인피니티는 이런 한계를 깼다”고 했다. 다음은 단독 인터뷰 전문이다.
코로나 팬데믹에 이어 전쟁까지, 전 세계가 혼돈의 시기를 겪고 있다. 이런 불확실한 상황에서 우리가 의지하게 되는 건 리더다. 팀의 매니저, 회사의 CEO, 국가의 지도자다. 하지만 과연 그들이 정답을 가지고 있을까? 한 치 앞을 내다 볼 수 없는 것은 리더도 마찬가지다. 그렇다면 이 혼란의 시대를 살아가는 리더는 어떤 입장을 취해야 하는 것일까.2010년 세계적인 TED 강연 “취약성의 힘(The Power of Vulnerability)”으로 잘 알려진 심리 전문가 브레네 브라운은 7년동안 진행했던 리더십에 대한 연구를 마쳤다. 전 세계 최고의 리더 150명을 인터뷰한 결과, 이 시대에 우리에게 필요한 리더는 “더 용감한 리더"라고 나타났다.용감한 리더는 한가지로 정의할 수 없다. 용기는 한면만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분명한 건, 용감한 리더십의 가장 큰 장벽은 ‘갑옷(armor)’이라는 사실이다. 갑옷은 인간이 인간됨을 막는다. 서로 배려하고 공감하고 연민을 표현하는 데에 방해가 된다.요즘같이 모두가 두렵고 불확실 할 때, 우리에게 필요한 리더는 갑옷을 벗고 ‘취약성(vulnerability)’을 드러내는 사람이다. 용감한 리더는 스스로를 갑옷으로 무장하지 않고 오히려 상대에 대한 호기심으로 대체한다. 상대의 상태를 확인하고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본다. 자기를 방어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의 말을 듣는 리더, 공감할 수 있는 리더가 우리의 미래 리더 모습이다.브라운 교수는 팀에서 높은 성과보다 신뢰와 심리적 안정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아무리 성과가 좋아도 대면 관계에 신뢰가 없다면 함께 일하기 힘들다. 특히 요즘같이 원격으로 일하는 시대에 배려, 존중, 연결성의 문화는 매우 중요하다. 더 이상 결과 중심의 성과와 공감 및 배려를 상호 배타적으로 보면 안된다. 이제 이 두 가지는 완전히 상호 의존적이라고 생각해야 한다.그는 “우리는 더 불안하고, 취약하고, 불확실한 상황에 살고 있기 때문에 전형적인 DEI인 다양성(Diversity), 형평성(Equity), 포용성(Inclusion)보다 더 많은 것을 해야 한다"며 “소속감(Belonging)”을 덧붙였다. 진짜 소속감은 우리가 바뀌길 요구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인다. 우리가 자신의 모습을 솔직하게 드러낼 때, 소속감을 느끼게 된다. 소속감은 신뢰를 기반으로 한 관계다. 이것은 우리 문화에 만들어야 할 중요한 가치다.다음은 브라운 교수가 말하는 '이 시대의 리더십'에 대한 대담 전문이다.
실리콘밸리의 전설적 투자자 크리스 사카(Chris Sacca)가 한 말이다. 그는 트위터, 우버, 인스타그램, 트윌리오과 같이 많은 혁신적인 기술 기업을 세운 초기 투자자로 잘 알려졌다. 또한 그는 평범하지 않은 이력으로 매우 유명하다.사카는 2007년 구글이 절정에 다다랐을 때 퇴사를 하고 벤처캐피탈리스트 길로 나섰다. 10년 뒤, 그는 42세로 세계 최고의 VC로 타이틀을 얻었지만, 그는 “내가 하는 스타트업 투자 일이 예전처럼 신나지 않다”며 조기 은퇴를 선언했다. 일명 '파이어족'의 원조격인 셈이다. 하지만 은퇴 후, 그는 아내와 기후위기에 대한 관심을 시작으로 로어카본 캐피탈(Lowercarbon Capital)을 설립했다. 지난해, 그는 기후테크에 대한 비전으로 투자 세계에 컴백했다.가장 성공했을 시점에 사카는 모든 것을 뒤로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상황에서 돈과 명예를 선택했을 것이다. 하지만 사카는 달랐다. 모든 지 잘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자신감 때문이었을까? 과연 그가 이해할 수 없는 선택을 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지난 18일(현지시각) 오후 8시 40분 미국 콜로라도주 덴버. 수천 명의 군중이 가득 들어찬 강당 무대에 깡마른 남자가 등장했다. 민무늬 회색 티셔츠에 핑크색 잠옷 바지, 어딘가 불안해 보이는 시선 처리와 손짓의 조합. ‘도대체 이 사람은 무슨 생각을 할까’하는 궁금증을 불러일으키는 괴짜,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이었다.외모에서 풍기는 분위기와 정반대로 그는 글로벌 암호화폐·블록체인 생태계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하나로 평가된다. 2015년 이더리움(Ethereum)을 발명, DeFi(탈중앙화금융), NFT(대체불가능토큰), DAO(탈중앙화자율조직)에 이르는 ‘웹3(Web3)’ 물결의 토대를 만들었기 때문이다.2세대 블록체인으로 불리는 이더리움은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 자동으로 거래가 체결되는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 기능을 가지고 있다. 스마트 계약은 다양한 웹3 프로젝트의 토대 기술로 활용되고 있으며 현재의 풍부한 이더리움 생태계를 가능케 한 주인공이다.비탈릭 부테린은 이날 ‘ETH덴버’ 행사에서 ‘디지털 국가를 향한 여정(Steps to the Digital State)’이라는 주제로 연설했다. 이더리움의 특성, 문제 해결 능력을 강조하며 블록체인 기반 조직인 DAO를 활용하면 과거와는 다른 완전히 새로운 기업, 기관, 국가가 가능하다고 설파한 것이다.DAO는 블록체인이 적용된 컴퓨터 암호화 프로그램에 기반해 주요 의제를 논의한다. 그 결과 소수의 관리자가 아니라 모든 참여자가 의사 결정권과 조직 통제력을 갖게 되는 방식이다. 실제로 미국 와이오밍주는 지난해 3월 최초로 DAO법을 제정, 7월부터 법을 시행하고 있다. ‘아메리칸 크립토페드(American CryptoFed) DAO LLC’라는 DAO는 이 법을 통해 최초로 법적 인정을 받은 DAO가 됐다.
잠깐. 잠시 눈을 감아보자. 그리고 '한 사람'을 떠올려보자. 지금 머릿속에 누가 가장 먼저 떠오르나? 가족인가? 친구인가? 직장 동료인가? 가족이 골치아픈 일이 없다면 모름지기 직장동료 거나 관계된 사람일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인간은 관계 속에서 살아가는데 좋건 싫건 해결해야 할 '일'과 관련된 사람이 있게 마련이다. 직장에서 많은 사람들을 만나는데 자신과 일하는 스타일이 안 맞는 사람을 피한다. 안 그래도 힘든 사회생활, 더 피곤해지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무언가를 잘못하고 있는 사람을 봐도 굳이 고쳐주지 않는다. 직장생활은 직장의 일부일 뿐 굳이 인간관계를 만들어갈 필요는 못 느끼기 때문이다. 반면, 사사건건 간섭하는 사람이 있다. 자신이 잘못하는 것은 모르고 상대의 잘못된 점을 불같이 지적한다. 상대의 감정을 생각하지 않고 지적하는 것이 전문적인 모습인 양 화를 내는 것이다. “다 서로 잘하기 위해서”라고 말을 하지만, 마무리는 상처로 남는다.직장은 회사의 목표를 위해 일을 함으로 개인에게 보상이 주어지는 고용 장소다. 과연 개인의 성과가 우선시 되고 보상이 중요한 직장 내에서 올바른 인간관계를 만들어 갈 수 있을까? 직장은 그저 '돈을 받고' 일하는 곳인지, 아니면 생활 공동체가 될 수도 있을지. 이 모든 생각을 뒤 엎은 사람이 있다. ‘실리콘밸리의 팀장들(까칠한 인재마저 사로잡은 그들의 지독한 솔직함)으로 한국에 번역, 출간된 '완전한 솔직함(Radical Candor, Be a Kick-ass Boss Without Losing Your Humanity)’의 저자 킴 스콧(Kim Scott)은 “전문적인 것 이상으로 직장에서 진정한 인간 관계를 구축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