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 AI 혁신은 이제 시작... 질주하는 샌프란시스코 ‘뇌밸리’

reporter-profile
박원익 2024.06.26 14:04 PDT
생성 AI 혁신은 이제 시작... 질주하는 샌프란시스코 ‘뇌밸리’
24일(현지시각)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생성 AI 개발자 행사 ‘RAG++: AI Hack Night’ 현장 (출처 : 박원익/디자인: 김현지)

[위클리AI브리핑] 2024년 6월 19일~6월 25일
“초지능 가깝다”... 수츠케버의 비전
챗GPT 킬러 ‘클로드 3.5 소네트’ 출시
로컬AI 부상… CPU 춘추전국시대 온다

안녕하세요, 앞서가는 더밀크 구독자 여러분을 위한 AI 뉴스레터 [박원익의 AI인사이트]입니다. 

저는 24일(현지시각)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생성 AI 개발자 행사에 다녀왔는데요. LLM(대규모 언어 모델) 앱 개발 솔루션 업체 랭체인(LangChain)의 CEO 해리슨 체이스, 데이터스택스(DataStax) CEO 쳇 카푸어, 엔비디아 생성 AI 데이터 부문 시니어 디렉터 제인 스코크로프트 등 산업 최전선에서 활약하는 업계 전문가들이 모이는 자리였습니다.  

놀라웠던 건 현장에 수백 명이 몰릴 정도로 생성 AI의 열기가 여전히 뜨거웠다는 점입니다. RAG(검색증강생성)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도구가 발표되자 청중석에서 큰 환호가 터져 나오기도 했습니다. “우리는 아직 생성 AI 혁신의 시작 단계에 있다”라는 게 이 자리에 모인 개발자, 투자자들의 공통된 인식이었습니다. 

챗GPT 공개 후 1년 6개월이 흐른 지금까지 실리콘밸리에서 이런 분위기가 이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오늘은 생성 AI 2막에 접어든 현재 업계 지형도가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보여주는 소식들을 모았습니다. 매주 수요일 발행하는 ‘AI인사이트’를 통해 중요한 신호, 의미를 놓치지 말고 확인하세요!

Table of Contents

  • 🤖“초지능 가깝다”... 수츠케버의 비전

  • 🚀챗GPT 킬러 ‘클로드 3.5 소네트’ 출시

  • 🤳🏻로컬AI 부상… CPU 춘추전국시대 온다

  • 💡이주의 인사이트: AI로 바뀌는 엔터테크

  • ➕더밀크가 주목한 뉴스

🤖“초지능 가깝다”... 수츠케버의 비전

새로운 스타트업 SSI를 설립한 일리야 수츠케버의 경력, 배경을 보여주는 그래픽 (출처 : X 계정 @solopreneur_pvt)

팩트 요약: ‘오픈AI의 영혼’으로 불린 남자, SSI 설립

1. 오픈AI의 공동 창립자이자 수석과학자로 활동했던 일리야 수츠케버가 오픈AI를 떠난 지 한 달 여만에 자신의 새로운 AI 스타트업을 설립했다고 19일(현지시가) 발표했습니다. 

2. 새로운 스타트업의 이름은 ‘세이프 슈퍼인텔리전스(SSI, Safe Superintelligence Inc.)’입니다. 다니엘 그로스, 다니엘 레비가 공동창업자로 함께 이름을 올렸습니다. 

3. SSI는 실리콘밸리 팔로알토와 이스라엘 텔아비브에 사무실을 둔 미국 회사입니다. 수츠케버는 비즈니스 모델이 단기적인 상업적 압력에 노출돼 있지 않다고 강조했습니다. 

왜 중요한가: 

‘오픈AI의 영혼’으로 불리던 일리야 수츠케버가 새로운 AI 스타트업을 설립했다는 사실은 2022년 11월 챗GPT 발표로 시작된 생성 AI 열풍이 새로운 단계(phase)에 접어들었다는 상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픈AI의 독주 체제가 깨지고, 다양한 플레이어들이 부상하는 ‘군웅할거’ 시대가 본격화한 것이죠.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아마존, 애플 등 빅테크는 물론 앤트로픽, 코히어, 미스트랄 등 다양한 LLM 개발 기업들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오픈AI의 키맨 수츠케버가 자신의 스타트업을 설립했다는 건 ‘게임은 이제 시작’이라는 메시지나 다름없습니다. 

경쟁에 자신이 없거나 기회가 없다면 그가 이런 선택을 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죠. 그는 성명에서 “초지능은 가까이에 있다”고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정보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SSI에 대한 투자가 이뤄졌다는 사실 역시 이런 관측을 뒷받침합니다. 

👉더 알아보기: 일리야 수츠케버는 누구?(무료)

🚀챗GPT 킬러 ‘클로드 3.5 소네트’ 출시

오픈AI, 앤트로픽, 구글 AI 모델 출시 시점 및 기능 비교 (출처 : Anthropic)

팩트 요약: 클로드 3.5 소네트 GPT-4o 능가

1. 오픈AI의 대항마 앤트로픽(Anthropic)이 20일(현지시각) 강력한 성능을 가진 새로운 AI 모델 ‘클로드 3.5 소네트(Claude 3.5 Sonnet)’를 공개했습니다.

2. 소네트는 앤트로픽의 제품군 중 중간급 모델입니다. 앤트로픽은 가장 강력한 모델인 클로드 3.5 오푸스(Opus), 경량화 모델 클로드 3.5 하이쿠(Haiku)도 순차적으로 출시할 예정입니다. 

3. 앤트로픽에 따르면 클로드 3.5 소네트는 대학원 수준의 추론 능력(GPQA), 학부 수준의 지식(MMLU), 코딩 능력(HumanEval) 벤치마크 점수에서 업계 기존 기록을 갈아치웠습니다. 오픈AI의 최신 모델 GPT-4o를 능가한 점수입니다.

왜 중요한가: 

짐 팬 엔비디아 시니어 연구과학자는 클로드 3.5 소네트의 성능을 놓고 “퍼스트 무버(first mover)의 이점이 오래 지속되지 않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1년 전만 해도 다른 AI 모델이 오픈AI의 최첨단 모델 GPT에 근접하거나 앞서는 일을 상상조차 할 수 없었는데, 지금은 상황이 바뀌었다는 주장입니다. 실제로 다른 AI 기업들이 선두를 빠르게 따라잡는 일이 계속 발생하고 있습니다. 

오픈AI 소라가 처음 공개됐을 때는 모두가 충격을 받았지만, 4개월여 만에 소라에 필적하는 모델이 4~5개 등장했습니다. 앤트로픽의 활약에 SSI까지 가세하며 AI 업계 지형도는 흥미진진하게 바뀌는 중입니다.  

👉더 알아보기: 클로드3.5 소네트, 무엇이 다른가(무료)

🤳🏻로컬AI 부상… CPU 춘추전국시대 온다

(출처 : 신정규 래블업 대표)

팩트 요약: AI 모델 개발 비용 감소로 온디바이스AI 부상

1. 신정규 래블업(Lablup) 대표는 19일 ‘더웨이브 서울 2024’ 컨퍼런스에서 메타의 AI 모델 ‘라마(Llama)’ 유출을 ‘베를린 장벽 붕괴’에 비유했습니다. 지난 2023년 3월 의도치 않은 유출로 공개되면서 AI 산업 전반에 큰 변화를 일으켰다는 주장입니다.

2. 라마를 미세조정해 새로운 AI 모델을 개발하는 방식이 확산하면서 AI 모델 개발 비용이 크게 감소했고, 이와 함께 개인용 장비·기기에서 AI 모델을 활용하는 ‘온디바이스AI(On-device AI)’가 부상했다는 게 신 대표의 설명입니다.

3. 신 대표는 이런 추세에 힘입어 PC 외장형 NPU(신경망처리장치) 시장이 탄생하고, 암(Arm) IP(지식재산권) 기반 CPU(중앙처리장치)가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왜 중요한가: 

AI 모델을 기기 자체(로컬AI)에서 실행하면 지연 시간이 짧고, 인터넷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데이터가 외부로 나가지 않는다는 점도 장점입니다. 

로컬AI, 온디바이스AI의 부상으로 더 많은 사람들이 생성 AI 기능을 활용할 수 있게 될 전망입니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빅테크만의 영역으로 여겨졌던 생성 AI 비즈니스 지형도가 바뀌고 있다는 신호이기도 합니다.

👉더 알아보기: 특명, 엔비디아에서 벗어나라(무료)

💡이주의 인사이트: AI로 바뀌는 엔터테크

(출처 : DALLE, 김세진 / 디자인: 김현지)

오늘의 레터에서 다룬 세 가지 이슈에서 한발 더 나아가 더밀크만의 뷰(view)를 제공해 드리는 <이주의 인사이트> 코너입니다. 

오늘은 생성 AI 기술 발전에 따른 콘텐츠, 엔터테인먼트 산업 최신 동향을 정리한 기획 기사를 준비했습니다. 영화, 애니메이션, 동영상, 게임 등 생성 최신 기술과 제작 환경 변화에 대해 알아보세요!

👉이주의 인사이트: AI, 콘텐츠 산업 영원히 바꾼다

틱톡 심포니 (출처 : TikTok)

➕더밀크가 주목한 뉴스

  • 틱톡, AI 콘텐츠 제작 도구 ‘심포니’ 출시틱톡은 17일 생성 AI 기술 기반의 새로운 콘텐츠 제작 도구 ‘틱톡 심포니(TikTok Symphony)를 출시했다고 밝힘. 가상 어시스턴트인 틱톡 심포니를 아이디어 브레인스토밍, 사례 구현, 트렌드 파악 등에 활용할 수 있다는 설명. 

  • 애플, 메타와 AI 파트너십 논의 중애플이 아이폰 등에 적용하는 자체 AI 시스템 ‘애플 인텔리전스’에 메타의 생성 AI 모델을 통합하는 방안을 추진 중. 23일 WSJ에 따르면 양사가 최근 관련 논의를 진행. 애플은 앞서 WWDC 2024에서 오픈AI의 AI 모델을 애플 인텔리전스에 통합한다고 발표한 바 있음. 앤트로픽, 퍼플렉시티와도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짐.

  • 레코드 레이블, 수노 등 스타트업 고소24일 블룸버그 보도에 따르면 글로벌 주요 음반사인 유니버설 뮤직 그룹, 워너 뮤직 그룹,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가 수노AI(Suno AI), 유디오AI(Udio AI)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 음악 생성 AI 스타트업들이 AI 모델 학습에 자사 음악을 불법 활용했다는 주장.

더밀크 회원으로 가입하시면 실리콘밸리에서 나오는 혁신 비즈니스 트렌드와 자본의 흐름을 가장 먼저 파악하고 앞서갈 수 있습니다. 주 4회 뷰스레터를 무료로 제공합니다. 유료 회원으로 업그레이드하시면 더밀크 콘텐츠를 제한없이 보고 더밀크의 스페셜 리포트를 받아보고 이벤트에 참석하실 수 있습니다.
더밀크 회원 가입하기

회원가입 후 뷰스레터를
주 3회 무료로 받아보세요!

단순 뉴스 서비스가 아닌 세상과 산업의 종합적인 관점(Viewpoints)을 전달드립니다. 뷰스레터는 주 3회(월, 수, 금) 보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