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래프톤 “게임 산업, AI로 재혁신... 가상 친구와 게임한다”

reporter-profile
박원익 2024.06.14 14:52 PDT
크래프톤 “게임 산업, AI로 재혁신... 가상 친구와 게임한다”
배틀그라운드, 뉴진스 협업 (출처 : KRAFTON, ADOR)

[비욘드 아시아 테크 서밋 2024] 이강욱 크래프톤 딥러닝본부장
영화 ‘그녀’ 속 게임 캐릭터 같은 ‘가상 친구’ 개발... 게임 경험 혁신
AI 관련 논문, 비디오 게임 업계 3위... 가상 공동 플레이어도 가능
임직원 AI 도구 사용률 97%... 게임 개발 절차도 혁신

친구처럼 음성으로 소통하며 함께 게임을 즐길 수 있는 ‘AI 에이전트(agent, 대리인)’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강욱 크래프톤 딥러닝본부장 겸 UW메디슨 전기컴퓨터공학부 교수

이강욱 크래프톤 딥러닝본부장 겸 UW메디슨 전기컴퓨터공학부 교수는 10일(현지시각) “펍지(PUBG, PlayerUnknown's BattleGrounds, 배틀그라운드) 등 크래프톤의 게임을 즐기는 게이머들을 위한 ‘가상 친구(virtual friends)’를 선보일 계획”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비디오 게임 업계에서 AI를 활용하는 방법에는 게임 개발 혁신, 새로운 게임 및 AI 에이전트 발명 두 가지가 있는데, 크래프톤은 두 가지 모두 추진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본부장은 영화 ‘그녀(Her)’에 등장하는 캐릭터를 게임 내 가상 친구(In-game virtual friend) 예시로 제시했다. 크래프톤이 AI 에이전트 형태로 개발 중인 가상 친구가 영화에서처럼 앞으로의 게임 경험을 바꿀 것이라는 주장이다. 

영화 ‘그녀’ 속 게임 캐릭터 같은 ‘가상 친구’ 개발... 게임 경험 혁신

영화 그녀에서 주인공 테오도르가 가상의 게임 내 캐릭터와 대화를 나누는 장면 (출처 : Warner Bros. Pictures, 유튜브 캡처)

영화 그녀에서 주인공 테오도르(호아킨 피닉스 분)는 게임 속에서 외계인 꼬마 캐릭터를 만나는데, 이 캐릭터는 일반적인 NPC(non-player character, 논플레이어 캐릭터)와 전혀 다르게 행동한다. 플레이어인 테오도르가 나가는 길을 알려달라고 요청하자 알려주지 않고 대뜸 욕을 하는 식이다. 재밌다고 여긴 테오도르가 웃으며 똑같이 욕을 하자 꼬마 외계인은 그제서야 웃으며 자기를 따라오라고 말한다. 

게임 내 캐릭터가 정해진 각본을 벗어나 사람처럼 게이머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게 되면 게임의 재미는 배가된다. 자유도가 높아져 플레이 할 때마다 다른 이야기, 새로운 경험을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AI 관련 논문, 비디오 게임 업계 3위... 가상 공동 플레이어도 가능

크래프톤은 생성 AI 기술을 활용, AI 에이전트 형태의 ‘가상 친구’를 개발 중이다. (출처 : KRAFTON)

이 본부장은 “AI 기반 가상 친구는 준비한 지 1년 반이 넘은 프로젝트”라며 “2023년 3월에는 사람 목소리를 듣고 반응하는 NPC가 등장하는 게임 ‘파인딩 미유(Finding Meow)’를 선보인 바 있다”고 설명했다. 크래프톤은 게임 내 캐릭터 외에 플레이어 중 한 명으로서 함께 팀 플레이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가상 공동 플레이어(virtual co-player)’도 개발 중이다. 

그는 “앞으로 AI 기술을 활용한 더 많은 제품이 출시될 예정”이라며 “크래프톤은 AI 관련 논문 수로 비디오 게임 업계 세계 3위 기업이다. 한국에서는 전 산업을 통틀어 5위 안에 든다”고 강조했다. 

이강욱 크래프톤 딥러닝본부장 겸 UW메디슨 전기컴퓨터공학부 교수가 비욘드 아시아 테크 서밋 2024에서 발표하고 있다. (출처 : 더밀크)

임직원 AI 도구 사용률 97%... 게임 개발 절차도 혁신

이 본부장은 이날 캘리포니아주 서니베일 플러그앤플레이 테크센터에서 열린 ‘비욘드 아시아 테크 서밋 2024(BeyondAsia Tech Summit: AI in 2024)’에 연사로 참여, 생성 AI 기술을 활용한 크래프톤의 혁신 사례를 발표했다. 

AI 기술로 게임 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는 점도 이목을 끌었다. 이 본부장은 “크래프톤은 2022년부터 직원들에게 ‘깃허브 코파일럿(코드 생성 도구)’을 지원하고 있다”며 “콘셉트 아트 역시 간단한 스케치, 텍스트, 주요 특징만 생성 AI 모델에 알려주면 아티스트, 디자이너가 원하는 최종 결과물이 자동 생성되는 방식을 활용하고 있다”고 했다. 

생성 AI 모델을 활용한 콘셉트 아트 제작 방식 (출처 : KRAFTON)

그는 이어 “2D 그래픽을 3D로 변환하거나 음성에 맞는 얼굴 표정 생성 등에도 AI 기술을 활용한다”며 “2023년 3월 3.5% 수준이던 임직원 AI 도구 사용률이 크런치 모드(집중 업무) 기간을 거치며 3개월 만에 97%로 올라갔다”고 했다.

이 본부장은 “생산성이 이렇게 높았던 적이 없었다”며 “크래프톤은 AI 기술을 사용해 게임 개발과 일상적인 작업 절차(workflow)를 혁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더밀크 회원으로 가입하시면 실리콘밸리에서 나오는 혁신 비즈니스 트렌드와 자본의 흐름을 가장 먼저 파악하고 앞서갈 수 있습니다. 주 4회 뷰스레터를 무료로 제공합니다. 유료 회원으로 업그레이드하시면 더밀크 콘텐츠를 제한없이 보고 더밀크의 스페셜 리포트를 받아보고 이벤트에 참석하실 수 있습니다.

더밀크 회원 가입하기

회원가입 후 뷰스레터를
주 3회 무료로 받아보세요!

단순 뉴스 서비스가 아닌 세상과 산업의 종합적인 관점(Viewpoints)을 전달드립니다. 뷰스레터는 주 3회(월, 수, 금) 보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