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 파워 일론, 오픈AI 흔들다... 미래는?
[위클리AI브리핑] 2025년 2월 05일~2월 11일
🚨머스크의 도발… 오픈AI 어디로 가나
🛒원클릭 가고 원쿼리 구매 시대 온다
🪙50달러로 만든 s1: 오픈 추론 모델 부상
💡인사이트: ‘딥시크 여파’ 네 가지 분석
➕더밀크가 주목한 뉴스
안녕하세요, 앞서가는 더밀크 구독자 여러분을 위한 AI 뉴스레터 [박원익의 AI인사이트]입니다. 매주 수요일 발행하는 ‘AI인사이트’를 통해 AI 리더들의 전략, 글로벌 테크업계 최신 흐름 및 중요 시그널을 놓치지 말고 확인하세요!
“오픈AI는 매물로 내놓은 기업이 아니다(It's not for sale).”
샘 알트만 오픈AI 공동창업자 겸 CEO는 11일(현지시각) 프랑스 파리 ‘AI 액션 서밋’ 현장에서 진행된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머스크는 우리의 속도를 늦추고 싶어 하는 것 같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일론 머스크가 주도하는 투자자 컨소시엄이 오픈AI 비영리법인(nonprofit)을 인수하겠다고 나서자 강하게 응수한 것입니다. 머스크는 전날 974억달러(약 141조원) 규모 인수 제안이라는 카드를 꺼내며 세계 최고 AI 기업 중 하나인 오픈AI를 세차게 흔들었습니다.
🚨머스크의 도발… 오픈AI 어디로 가나
팩트 요약: 회사 가치 재평가… 샘 알트만에 압력
1. 기술·투자업계에서는 일론 머스크의 인수 제안이 샘 알트만 CEO를 압박하게 될 것으로 관측하고 있습니다.
2. 오픈AI는 비영리법인이 영리법인을 지배하는 독특한 구조를 갖고 있는데, 이번 인수 제안으로 오픈AI 이사회가 비영리법인의 가치를 높여야 할 수 있다는 관측입니다.
왜 중요한가:
오픈AI 비영리법인 가치는 400억달러로 평가되는데, 머스크의 제안은 이 가치의 두 배가 넘는 974억달러에 달합니다.
오픈AI는 지난 12월 26일 영리 목적의 ‘공익법인(Public Benefit Corporation, PBC)’ 전환 구상을 밝힌 바 있습니다. 전환 과정에서 비영리법인 가치를 둘러싼 투자자, 이사회 간의 이견이 발생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더 알아보기: 딜레마 빠진 오픈AI
🛒원클릭 가고 원쿼리 구매 시대 온다
팩트 요약: AI 에이전트, 검색·쇼핑 경험 바꾼다
1. 스타 펀드매니저 ‘캐시 우드’가 이끄는 아크 인베스트(ARK Invest)가 4일(현지시각) ‘빅아이디어 2025’를 발간했습니다.
2. 빅아이디어는 매년 AI, 블록체인, 자율주행차(로보택시), 에너지, 휴머노이드 로봇, 유전체학 등 첨단 기술의 발전 현황 및 전망을 제시하는 보고서인데, 올해 AI 파트에서는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도입하기 시작한 ‘AI 에이전트(agent, 대리인)’를 집중 조명했습니다.
왜 중요한가:
AI 에이전트는 사람의 개입 없이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자율 지능형 시스템을 말합니다. 오픈AI가 공개한 ‘딥 리서치’가 대표적인 예죠. 챗GPT에 탑재된 딥 리서치에 궁금한 점을 물어보면 매우 훌륭한 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흥미로운 대목은 AI 에이전트로 검색 경험이 바뀌고, 결과적으로 구매 프로세스 역시 바뀔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아크 인베스트는 이를 ‘원쿼리 구매(one-query purchasing, 한 번의 요청만으로 구매)’로 정의했습니다.
👉더 알아보기: AI 에이전트 시대 10대 전망
🪙50달러로 만든 s1: 오픈 추론 모델 부상
팩트 요약: 스탠퍼드·워싱턴대, 초저비용 추론 모델 s1 공개
1. 스탠퍼드대학과 워싱턴 대학의 AI 연구원들이 발표한 추론 모델 ‘s1’도 지난주 업계에서 화제가 됐습니다.
2. 이 모델은 수학 능력을 측정하는 ‘MATH 500’ 벤치마크(성능 평가)에서 93%의 정확도로 오픈AI o1(94.8%), 딥시크 R1(97.3%) 같은 최첨단 추론 모델과 유사한 점수를 기록했습니다. 오픈AI o1-프리뷰(85.5%), 경량화 모델인 o1-미니(90%)를 넘어서는 점수입니다.
왜 중요한가:
더 놀라운 건 이 모델을 훈련하는데 들어간 비용이 50달러(약 7만2000원) 미만이었다는 사실입니다. 연구팀이 이런 놀라운 성과를 낼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일까요?
👉더 알아보기: 거인의 어깨에서 시작하라... 오픈 소스의 힘
💡위클리 인사이트: ‘딥시크 여파’ 네 가지 분석
오늘의 레터에서 다룬 세 가지 이슈에서 한발 더 나아가 더밀크만의 뷰(view)를 제공해 드리는 [위클리 인사이트] 코너입니다.
이번 주는 딥시크 이슈와 관련한 네 가지 질문과 각 질문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 전망을 확인할 수 있는 전문가 기고문을 준비했습니다. 더밀크 딥시크 쇼크 웨비나 연사로도 참여했던 신정규 래블업 대표님의 인사이트를 확인하세요!
👉위클리 인사이트: “한국 AI, 세계 1위 목표해야”(무료)
➕더밀크가 주목한 뉴스
오픈AI, 슈퍼볼에서 챗GPT 광고: 오픈AI가 9일(현지시각) 진행된 미국프로미식축구리그(NFL) 결승전 슈퍼볼 경기에 광고를 송출. 업계에선 올해 슈퍼볼 광고의 평균 단가를 30초당 700만∼800만달러로 추정. 오픈AI 외에 구글, 메타 등 다른 빅테크도 광고를 집행.
구글 딥마인드, 알파지오메트리2 공개: 구글 딥마인드가 7일 AI 모델 ‘알파지오메트리2(AlphaGeometry2)’ 논문을 공개. 기하학 문제 풀이에 강한 이 모델은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 50개 문제 중 42개를 풀며 금메달리스트(평균 40.9점)보다 우수한 성적을 기록.
오픈AI 공동창업자 존 슐만, 미라 무리티 스타트업 합류: 오픈AI의 공동창업자 출신으로 앤트로픽에서 일하던 AI 연구자 존 슐만이 미라 무라티가 설립한 스타트업에 합류. 미라 무라티는 오픈AI 최고기술책임자(CTO)를 지내며 스타가 된 인물. 현재 미라 무라티의 새로운 스타트업에 대한 정보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
더밀크 회원으로 가입하시면 실리콘밸리에서 나오는 혁신 비즈니스 트렌드와 자본의 흐름을 가장 먼저 파악하고 앞서갈 수 있습니다. 주 4회 뷰스레터를 무료로 제공합니다. 유료 회원으로 업그레이드하시면 더밀크 콘텐츠를 제한없이 보고 더밀크의 스페셜 리포트를 받아보고 이벤트에 참석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