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커버그가 10년 만에 한국에 오는 이유

reporter-profile
Sejin Kim 2024.02.26 10:59 PDT
저커버그가 10년 만에 한국에 오는 이유
(출처 : shutterstock)

‘AI 깐부 구해요’ 오픈AI∙메타∙소프트뱅크의 월드투어
‘빅 리셋 버튼’ 눌렸다... AI 반도체 판도 바뀐 까닭
소라의 진실... 1분에 1시간, 가성비 있나?
AI는 꿈인걸까? 불완전이 예술, 돈이 된다

안녕하세요 뷰스레터 구독자 여러분, 오픈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번주,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가 한국에 올 예정입니다. 저커버그 CEO의 한국 방문은 지난 2013년 이후 약 10년 만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을 비롯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조주완 LG전자 사장 등과 만남을 타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죠. 왜 지금일까요? 

인공지능(AI) 기술 때문입니다. 지금 AI 산업은 '만인 대 만인의 투쟁'의 구도가 형성되고 있습니다. 국가 차원에서도 AI칩 생산과 보유가 곧 국력이 되고 있죠. 메타를 비롯해 오픈AI, 소프트뱅크 등 지금 테크, 투자 기업 수장들은 '월드투어' 중입니다. 엔비디아와 협업하는 동시에 이를 벗어나려는 움직임입니다.

"AI 깐부 구해요" 빅테크의 월드투어

빅테크 기업 CEO의 '월드투어' 1차 목적은 생성AI 서비스의 필수 인프라이자, 현재 엔비디아가 시장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는 AI 반도체 자체 개발을 위해서입니다. 이를 위해 전세계에서 사업 혹은 투자 파트너를 찾고 있습니다.

한국은 반도체와 소비자용 기기 제조 인프라와 함께 자체 대형언어모델(LLM)을 보유한 몇 안 되는 국가라는 점에서 투어의 필수 코스가 됐죠.

<맛보기> 🚀 마이크로소프트는 AI칩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인터페이스카드(NIC, 이더넷) 자체 개발에 나섰고, 인텔은 경쟁사가 분업해 함께 AI반도체를 제작하는 개방형 파운드리 시스템을 제시, ‘적과의 동침’을 선언했습니다.

🔥 손정의 회장이 이끄는 소프트뱅크는 중동 등을 오가며 AI 반도체를 위해 최대 1000억달러(약 133조원) 규모의 펀드 조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른바 일본 창조신 이름을 딴 '코드명 이자나기(Izanagi)'입니다. 소프트뱅크는 반도체 설계자산(IP) 기업 '암(Arm)' 주식으로 부활했죠. 

👉 ARM이 중요한 이유

지금 AI 산업은 '엔비디아 vs 나머지'의 전쟁이다. 생성AI 서비스의 경쟁력은 엔비디아 AI반도체의 공급부족∙고비용을 잡는 게 됐다. (출처 : shutterstock, 김세진)

'빅 리셋 버튼' 눌렸다...반도체 판도 바뀐 까닭

실리콘밸리 권기태 반도체 설계 엔지니어는 엔비디아가 이렇게 된 데에는 새로운 르네상스를 연 회사이기 때문이라고 평가합니다.

🚀 AI의 역사는 반세기가 넘었습니다. 이때 엔비디아는 14년 전부터 천문학적인 숫자의 과학 연산을 할 수 있게 과학자들에게 소프트웨어 ‘CUDA(병렬 프로그래밍 모델)’를 제공했죠.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과학자들이 엔비디아 GPU를 사용해 연구해 왔기에, 엔비디아는 AI 기술의 변화를 가장 빠르게 알 수 있었던 것입니다. 

🔑 엔비디아는 이미 유연성이 있는 GPU에 더해 새로운 알고리듬을 누구보다 먼저 알 수 있었고, 이를 지원하는 AI 반도체 설계 역시 경쟁사보다 수년 이상 먼저 시작할 수 있었습니다.

👉 반도체 산업 판도마저 이 회사가 바꿨다

AI 반도체 활용 예시 (출처 : 엔비디아/디자인: 김현지)

소라의 진실... 1분에 1시간, 가성비 있나?

AI 칩 전쟁의 원인은 생성AI 서비스로 비즈니스 만들기입니다. 생성AI 서비스 중 요즘 가장 주목받는 분야는 콘텐츠 제작이죠. 챗GPT의 ‘텍스트’에서 달리(DALL-E), 미드저니(Midjourney) 등의 이미지, 음성으로 진화하더니 이제는 동영상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오픈AI가 지난 15일 발표한 문자 기반 영상 생성 모델(text-to-video model) ‘소라(Sora)’는 공개 직후 실리콘밸리와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업계를 뒤흔들어 놨습니다

그럼 이제 모두가 텍스트로 유튜버가 될 수 있는 날이 온 걸까요? 이때 일부 테스터들이 소라를 테스트한 결과 1분짜리 비디오를 제작하는 데 렌더링 시간이 1시간 이상이 걸린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 소라의 진실+오픈소스

소라에서 생성한 동물 이미지. 털 하나하나가 표현돼있다. 픽사에서 작업할 경우 수개월이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출처 : OpenAI X)

🤖 이 사진을 보면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생성AI 솔루션에서 “하얀색 파자마를 입고 머리를 질끈 묶은 채 한 여자가 노트북 앞에서 초콜릿을 먹고 있다”는 프롬프트(명령어)로 만든 영상입니다. 사진은 입력한 프롬프트만 생각하면 ‘불완전’ 그 자체죠.

심지어 숟가락은 구부러져 있습니다. 저는 ‘[AI레시피] AI로 움짤 만드는 법’ 기사에서 프롬프트를 바꿔가며 이를 자세히 리뷰했습니다. 

사용 프롬프트: A woman is eating chocolate while using a laptop. She is wearing white pajamas and is tying up her hair (출처 : Pika, 김세진)

그런데 이 ‘불완전’이 또 다른 예술, 나아가 비즈니스가 될 수 있다는 시각도 심심치 않게 들려오고 있습니다.

“지금 나오는 불완전한 영상들은 그 자체로 새로운 형태의 예술이라고 생각해요. 적어도 사람들이 그런 식으로 이 시기를 돌아볼 것이라고 생각해요. 이들이 만든 것들이 완벽한지는 상관없어요” @Impressive-very-nice/Reddit

“AI가 생성하는 이미지에서 보는 가장 이상한 넌센스는 그것이 꿈의 논리와 정확히 똑같이 작동한다는 것입니다. 손에 쥐고 있는 물건은 원래는 의자였는데, 녹아서 지금은 우산이 됐어요. 그리고 뒤에 있는 콘크리트 벽은 이제 나무가 됐죠.

이는 실제로 우리의 뇌, 특히 잠재의식이 엉망진창으로 생각하는 방식과 비슷합니다.” @hawara160421/Reddit


이쯤 되면 전화위복의 고수는 생성AI가 아닌가 싶습니다. AI가 던진 이 큰 질문에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기사 내 메일로 의견을 전해 주세요. 더밀크는 구독자 여러분이 필요한 콘텐츠를 만듭니다. 

뉴욕에서 
김세진 드림

회원가입 후 뷰스레터를
주 3회 무료로 받아보세요!

단순 뉴스 서비스가 아닌 세상과 산업의 종합적인 관점(Viewpoints)을 전달드립니다. 뷰스레터는 주 3회(월, 수, 금) 보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