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s
“지금 AI에 조명을 켜달라고 요청해 보겠습니다. 보이시죠? 집이 밝아졌습니다.”지난 15일(현지시각)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AI 커뮤니티 ‘AGI 하우스’가 개최한 해커톤(hackathon, 제한된 시간에 서비스를 개발해 발표하는 행사) 현장에서 흥미로운 시연이 펼쳐졌다. MCP(Model Context Protocol,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를 애플 홈킷(HomeKit)에 연결, AI 모델로 다양한 가전제품을 실시간 원격 제어하는 시연이 펼쳐진 것이다. 시연을 담당한 제이콥 ‘프리스타일(Freestyle)’ CTO가 텍스트(text, 문자) 입력만으로 집 조명 색깔을 빨강색으로 바꾸고, 오븐을 가동해 온도를 설정하자 현장에서 박수가 터져 나왔다. 벤자민 프리스타일 CEO는 “AI가 코드를 실행해 다양한 일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며 “이런 방식으로 애플 홈킷이 있는 어떤 집이든 제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들의 시연은 스마트폰 애플 홈 앱으로 미리 설정된 기능을 작동하는 것과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구현됐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자연어로 AI 모델에 요청하는 것만으로 코드가 실행, 실제 기능이 수행됐기 때문이다. 이 방식은 문자나 음성 기반의 훨씬 간편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뿐 아니라 ‘더 많은 기기 제어’, ‘훨씬 다양한 작업 요청’ 등의 확장성을 내포한다. 이런 변화의 핵심에 MCP가 있다.
박원익 2025.03.30 14:01 PDT
“챗GPT 이미지 생성 기능의 인기는 우리 기대를 훨씬 뛰어넘었습니다. 상당히 높을 거라고 예측 했었는데, 그것을 능가했네요.”샘 알트만 오픈AI CEO는 26일(현지시각) X를 통해 “아쉽게도 무료 사용자에 대한 기능 제공은 다소 늦춰질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알트만 CEO가 언급한 이미지 생성(4o Image Generation)은 오픈AI가 25일 공개한 새 기능이다. 기존 언어 모델인 GPT-4o에 이미지 생성기를 통합, 챗GPT에 텍스트(text, 문자)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다양한 이미지를 쉽게 만들 수 있게 됐다.
박원익 2025.03.27 14:17 PDT
그간 인공지능(AI)는 미국 주도로 발전 속도를 높여왔는데요.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 등장으로 중국도 주도권 경쟁을 이어나가게 됐습니다. 중국에서 딥시크는 '국보급' 기업이 됐지만, 중국이라는 국가의 성향상 제한도 강화되고 있습니다. 14일 디인포메이션에 따르면 최근 몇 주 동안 딥시크 경영진은 AI 모델 연구·개발(R&D)에 관여하는 일부 직원들의 해외 여행을 자유롭게 허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또 모기업이 위치한 지역 정부는 기업 경영진과 직접 만날 수 있는 투자자들을 사전 심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이를 실행하기 위해 딥시크와 모회사인 '하이 플라이어 캐피털 매니지먼트(High-Flyer Capital Management)’는 일부 직원들에게 여권을 회사에 제출하도록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직원들이 기밀 정보에 접근하고, 기업의 영업 비밀이 국가 기밀로 간주될 수 있다는 위기감 때문에 중국 정부 차원에서 리소스를 단속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 오픈AI 급했나? ... 미 정부에 "딥시크 규제해야" 촉구 딥시크는 지난 1월 말, 오픈 AI와 유사한 모델과 비슷한 성능을 내면서도 훨씬 적은 비용으로 훈련된 심층 추론(Deep Reasoning) 모델을 출시하며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습니다. 미국에서는 '쇼크' 충격을 받을 정도였는데요. 중국에서는 딥시크가 미국의 기술 견제 속에서도 혁신을 이어가는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량원펑 딥시크 CEO는 시진핑 국가 주석 등이 참석하는 공식 행사에 초대되는 등 높은 위상을 자랑하고 있는데요. 현재 중국 내 여러 지자체에서 딥시크의 오픈소스 AI 모델을 IT 인프라와 업무 프로세스에 통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 차원에서 딥시크의 연구 인력을 중요한 자산으로 간주하고 이를 단속하는 행보를 보이고 있는 겁니다. 최근 중국은 정부 관리나 국유기업 임원들의 해외 출국을 제한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데요. 최근 몇년간 공무원, 교사, 국유기업 일반 직원들까지 확대되고 있고, 이제는 민간 스타트업까지 이러한 제한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AI 경쟁이 국가 차원의 경쟁으로 확대되면서 자원, 기술 유출에 대해 정부 차원의 관리와 지원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요. 미국의 빅테크도 기민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오픈AI가 트럼프 행정부에 중국발 AI 모델 사용을 전면 제한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나섰는데요. 미국과 중국의 기술 패권 경쟁이 반도체를 넘어 AI로 확대되고 있다는 시그널입니다. 13일(현지시간)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오픈AI는 "미국을 비롯한 '티어 1' 국가에서 중국 등 정부 보조금을 받는 국가 통제 조직에서 만든 AI 모델을 금지하는 방안을 검토해달라"는 정책 제안서를 정부에 제출했습니다. 정책 제안서에서 오픈AI는 중국의 AI 모델이 보안과 지식재산권(IP) 보호에 심각한 리스크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는데요. 미국 주도의 AI가 중국 주도 AI보다 우세하도록 보장함으로써 AI에 대한 미국 리더십을 지켜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권순우 2025.03.14 21:24 PDT
오픈AI의 라이벌로 평가되는 미국 AI 스타트업 앤트로픽이 정중동(靜中動) 행보를 걷고 있다. 오픈AI와 비교할 때 상대적인 고요함을 유지하면서도 비용 절감 및 매출 증대를 동시에 달성하는 뛰어난 효율을 보여주고 있다는 평가다. 앤트로픽의 이런 움직임은 이미 지난 연말 발표된 멘로 벤처스의 데이터를 통해 한 차례 확인된 바 있다. 실리콘밸리 VC 멘로벤처스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기반 모델(foundation model) 시장에서 앤트로픽은 24% 점유율을 기록, 2023년(12%) 대비 가장 큰 폭(12%포인트)의 성장을 기록했다. 오픈AI의 점유율이 50%에서 34%로 하락한 가운데, 점유율을 배로 늘리며 오픈AI의 강력한 대체재로 자리 잡은 것이다. 구글, 메타 등 기반 모델을 제공하는 빅테크도 제친 성과다.12일(현지시각) 디인포메이션의 보도에 따르면 2027년 앤트로픽의 API 기반 매출(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로 AI 모델을 제공해 올리는 매출)은 최대 345억달러(약 49조8300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2027년 오픈AI의 매출 전망치 440억달러(약 63조6000억원)를 바짝 뒤쫓는 수치다.
박원익 2025.02.13 14:07 PDT
안녕하세요, 앞서가는 더밀크 구독자 여러분을 위한 AI 뉴스레터 [박원익의 AI인사이트]입니다. 음력 정월 초하루에 인사드립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오픈AI, 앤트로픽, 구글,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이 해내지 못한 일을 200명의 소규모 팀이 해냈다.” (디디 다스, 멘로벤처스 투자자)한국 설 연휴 기간 실리콘밸리는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개발한 추론 특화 AI 모델 ‘R1’으로 떠들썩했습니다. 실리콘밸리뿐만 아닙니다. 주식시장에서는 지난 27일(현지시각) 하루 만에 시가총액 5890억달러(약 846조원)가 증발한 엔비디아를 비롯해 브로드컴, 오라클이 각각 18.15%, 13.39% 하락하는 등 AI 관련 기술주 동반 폭락했습니다. 왜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요? ‘딥시크 쇼크’ 속에서 어떤 교훈을 얻을 수 있을까요?
박원익 2025.01.29 09:24 PDT
오픈AI와 소프트뱅크가 초대형 AI 인프라 벤처 ‘스타게이트(Stargate)’에 380억달러(약 54조6000억원)를 투자한다. 전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손정의 소프트뱅크 그룹 회장, 래리 엘리슨 오라클 설립자, 샘 알트만 오픈AI CEO와 발표한 스타게이트 설립 구상과 관련, 구체적 숫자가 등장한 것이다. 스타게이트는 AI 인프라가 되는 대규모 데이터센터 구축 프로젝트다. 디인포메이션은 22일(현지시각) 오픈AI와 소프트뱅크가 각각 합작 벤처에 190억달러(약 27조원)씩 투자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샘 알트만 CEO가 오픈AI 일부 직원들에게 이와 같은 내용을 공유했다는 내용이다. 오픈AI가 스타게이트의 지분 40%를 보유하는 계획으로 알려졌다.트럼프 대통령은 스타게이트 설립을 발표하며 “역사상 가장 큰 AI 인프라 프로젝트로 10만 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할 회사가 등장할 것”이라며 향후 4년에 걸쳐 최대 5000억달러(약 718조원)를 투자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박원익 2025.01.22 20:48 PDT
안녕하세요, 앞서가는 더밀크 구독자 여러분을 위한 AI 뉴스레터 [박원익의 AI인사이트]입니다. 매주 수요일 발행하는 ‘AI인사이트’를 통해 AI 리더들의 전략, 글로벌 테크업계 최신 흐름 및 중요 시그널을 놓치지 말고 확인하세요!“엔비디아 ‘젯슨 오린(Jetson Orin)’ 칩이 탑재돼 있습니다.”CES2025 기간 만난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사 ‘유니트리(Unitree Robotics)’ 직원은 “로봇의 실시간 제어가 어떻게 가능하느냐”는 질문에 이렇게 답했습니다. 자율주행차, 로봇 등에 탑재하는 엔비디아 반도체를 기반으로 ‘임바디드 AI(Embodied AI, 물리 장치에 내장돼 동작하는 AI)’를 구현한다는 설명이었습니다. 시연은 사람이 개입해 진행하지만, 개발은 로봇이 스스로 환경에 적응하고 대응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현장 곳곳에서 그런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유니트리 외에도 중국 로봇 스타트업 ‘갤봇(Galbot)’이 개발한 휴머노이드가 전시돼 있었는데, 이 로봇은 인간의 조작 없이 카운터에서 고객의 주문을 받은 후 해당 상품을 뒤편 진열대에서 찾아 건네주는 행동이 가능했습니다. 이 회사 역시 엔비디아 칩을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박원익 2025.01.22 10:15 PDT
2024년 12월은 생성형 AI 업계에 특별한 한 달이었다. 마치 2025년 새해 AI 산업의 단계(phase)가 바뀔 것을 예고하듯 새로운 AI 모델과 기술, 사용 사례(use case)가 쏟아졌다. 흐름을 이끈 것은 오픈AI와 구글이었다. 오픈AI는 12월 20일까지 무려 12일 연속 새로운 모델, 제품, 기능을 발표하는 ‘12 Days of OpenAI’ 이벤트를 열어 동영상 생성 모델 ‘소라(Sora)’, 새로운 추론 전문 모델 ‘o3’를 공개했다. 구글 역시 차세대 AI 모델 ‘제미나이 2.0 플래시’를 비롯해 동영상 생성 모델 ‘비오2(Veo2)’, 이미지 생성 모델 ‘이마젠3(Imagen 3)’, 월드 모델 ‘지니2(Genie 2)’를 공개하며 폭풍 같은 연말을 완성했다. 더밀크는 AI 전문가들의 시선을 통해 2024년 말 몰아친 AI 이벤트의 의미를 정리하고, 2025년 이후 다가올 미래에 대해 살펴봤다.
박원익 2024.12.31 11:07 PDT
오픈AI가 영리 목적의 ‘공익법인(Public Benefit Corporation, PBC)’ 전환 구상을 발표했다. 기존의 ‘이익제한기업(capped profit company, OpenAI Global, LLC)’을 델라웨어주 기반 PBC로 변경할 계획이다. 오픈AI는 26일(현지시각) 회사 블로그를 통해 “PBC는 보통주 및 오픈AI의 미션을 기반으로 운영될 것”이라며 “PBC는 주주(shareholder), 이해관계자(stakeholder), 공공(public)의 이익을 조화롭게 추구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회사 구조”라고 설명했다.
박원익 2024.12.27 16:58 PD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