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핵전쟁… 한국 경제는 '시계제로'
트럼프 행정부가 2일(현지시간) 전 세계 60개국을 대상으로 핵폭탄급 관세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한국은 25%, 중국 34%, 베트남에 최대 46%의 관세를 매기겠다는 내용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안정보다는 실리를 추구합니다. 그 과정에서 불편함을 감수하더라도 판을 뒤엎는 과감한 결정을 멈추지 않는 인물입니다. 그가 관세 정책을 밀어붙이는 핵심적인 이유는 미국 중심의 공급망 재편입니다. 높은 관세를 통해 미국 제품의 경쟁력을 높이고,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전략입니다.현대차그룹의 사례는 이러한 전략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지난달 24일(현지시간)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백악관에 초청받아 2028년까지 미국에 210억 달러(약 31조 원)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관세를 피하고 싶다면 미국에 투자하라"는 메시지를 분명히 했고, 현대차의 발표는 이에 부합하는 것이었습니다.트럼프 행정부의 전략은 단순한 관세 정책을 넘어섭니다. 공급망 재편, 인플레이션, 중국과의 기술 패권 경쟁 등 다양한 요인들이 얽혀 있는데요. 이를 "미국의 힘"과 "관세"라는 도구를 활용해 해결하겠다는 겁니다. 그러나 이 같은 급진적 변화에 전세계 뿐 아니라 미국인들이 받는 충격도 상당합니다. 미국 내에서도 관세 전쟁이 초래할 경제적 타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이를 반영하듯 관세에 따른 인플레이션 및 경기 침체, 글로벌 무역전쟁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3일(현지시간) 다우지수, S&P500, 나스닥 등 뉴욕증시 3대 지수는 일제히 폭락했습니다. S&P500 지수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분간 고통을 감내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그러나 반대 진영에서는 "이러다 다 죽는다"고 경고합니다.